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족 편지글에 나타난 개인 창작시의 고향 상실과 재창조 (Loss and re-creation of hometown in personal poetical composition in the letters of ethnic Koreans in Chin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1.03
32P 미리보기
조선족 편지글에 나타난 개인 창작시의 고향 상실과 재창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37호 / 153 ~ 184페이지
    · 저자명 : 최정선

    초록

    KBS 라디오 사회교육방송국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 조선족의 한국 내 가족 찾기를 목적으로 서신교류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발송된 방대한 서신 기록 개인 운문(시)을 대상으로 내용을 분석,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파악된 창작시는 600여 수에 달하는데 시의 주제는 망향의 그리움으로 수렴된다. 특히 조선족에게 고향은 지역성을 초월하여 인위적으로 새롭게 형성한 고국으로 확장되었다. 출신지를 불문하고 국경을 건너 정착한 이주민은 모두 동향인이라는 연대의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시의 특질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법으로 바이그램을 사용했다. 분석대상인 시 데이터 분량이 크고 창작자가 다수이며 주제가 유사하다는 특징을 고려한 방법론적 접근이다. 조선족 창작시는 고향 상실의 애환에 매몰되지 않고 현재를 긍정하고 미래를 낙관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된 관습화된 고향 이미지를 활용하는 동시에 새로운 정착지의 문화와 사상을 융합하였다. 기억에 저장된 고향을 공유함으로써 공공 정체성을 강화하고, 이주지의 문화를 통해 고향 이미지를 재창조함으로써 자신들의 존재 기반을 공고히 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라디오 방송 매체는 조선족의 정체성을 객관화하는 계기로 작동하였다. 조선족은 한국인. 중국의 한족과 차별화되는 정체성의 향방을 고심하였다. 결과적으로 조선의 언어를 학습하고 언어 표현을 심화할 수 있는 문학 창작활동을 활발히 하며, 전통의 풍습을 재현하는 삶의 방식을 통해 조선족의 공공 정체성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라디오 방송은 고국을 향한 관심고취뿐만 아니라 정보제공과 인적교류 확산 등 다양한 사회적 반향을 불러왔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조선족이 우리 언어 (특히 남한의 표준어)의 습득과 정확한 구사에 관심을 갖도록 하여 문예 창작활동을 자극했다는 의미 부여가 가능하다. 문학을 통해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표출하려고 부단히 고심했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들을 입증할 문화적 자산을 발견하고 공공의 정체성을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e KBS Radio Social Education Broadcasting Station began correspondence with ethnic Koreans in China in the late 1970s. A vast amount of correspondence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search campaign for dispersed family members, and this study outlined the poetical composition of the individual senders of the correspondence. There are over 600 works of personal poetical composition that have been identified so far, and the theme of the poems converges to a sense of nostalgia and longing for homeland. In particular, for ethnic Koreans in China, the hometown has been expanded to a hometown and homeland in a universal sens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locality. This is a result of their sense of solidarity as immigrants who settled across the border regardless of their region of origin.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we used the Bigram analysis method. It is an analysis method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amount of poem data is large, the number of writers is large, and the subject is similar. The poems written by ethnic Koreans in Chins were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affirming the present and optimistic about the future without being buried in the sorrow of the loss of hometown. To this end, the traditionally used image of the hometown was used and the cultural aspects of the new settlement were fused. They reinforced their public identity by sharing their hometown stored in their memories, and recreated the image of their hometown through the culture of their place of migration, thereby consolidating their base of existence.
    Radio broadcasting media acted as an opportunity to objectify the identity of ethnic Koreans in China. Compared to the Koreans and the Han Chinese, ethnic Koreans in China considered the direction of their identity. As a result, they attempted to expand the public identity of ethnic Koreans in China through a way of life that actively utilizes Korean language to create literature and recreate traditional customs.
    Radio broadcasting not only raised interest in the home country, but also brought about various social repercussions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and spreading personal exchange. However, above all,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stimulated the literary and artistic creation activities by making ethnic Koreans in China interested in acquiring and accurate use of Korean (especially the standard South Korean languag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y constantly struggled to express their own identity through literature, and in the process they discovered the most Joseon-like things themselves and built a public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