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캠핑 트렌드 변화에 따른 미니멀 캠핑족의 캠핑장비 사용행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Camping Equipment in Minimalist Camper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Camping Trend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3.12
31P 미리보기
캠핑 트렌드 변화에 따른 미니멀 캠핑족의 캠핑장비 사용행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26권 / 4호 / 97 ~ 127페이지
    · 저자명 : 이승화, 선섭희

    초록

    일과 개인적인 삶 사이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워라밸(Work & Life Balance) 문화가 확산하면서 캠핑이 새로운 여가 활동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여가 활동의 증가로 다양한 방식의 캠핑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그중 최근에는 사회 전반에 퍼지고 있는 일코노미의 하나로 횰로족의 등장과 개인화로 인해 1~2인이 최소한의 필요 장비를 구비해 즐기는 미니멀 캠핑이 유행하는 추세이다. 현재 그들을 타깃으로 한 장비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새로운 장비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미니멀 캠핑족의 장비 구비현황 파악과 사용행태를 관찰하여 향후 캠핑장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기능 개선 또는 새로운 기능과 장비 발굴을 제안하였다. 우선 문헌 조사를 통해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10년 단위로 캠핑 트렌드 변화에 따른 캠핑유형의 다양화를 연대별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캠핑 장비 리스트를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10년 단위로 파악하여 연대별 용도에 대한 변화의 추이를 느낄 수 있는 장비를 분석하고, 2020년의 장비 리스트를 1차 정리하여 미니멀 캠핑족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들이 실제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제시된 리스트로 확인하게 하여 실제 캠핑 시 사용하는 캠핑장비 리스트를 최종 정리하였다. 정리된 캠핑장비 리스트를 대상으로 관찰조사를 진행하여 그들의 사용행태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불편 요소와 잠재적 니즈를 파악, 장비별 개선 사항이나 새로운 기능 요소를 발굴하고 새로운 캠핑장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캠핑장비에 관한 차후 연구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the culture of Work-Life Balance gains traction, camping has emerged as a trendy leisure activity, giving rise to various camping styles. Notably, the growing trend of "solo economy" and individualization has led to the popularity of "minimalist camping," where 1-2 individuals enjoy camping with essential gear. Although active development targeting this consumer group is underway, there has been a lack of preliminary research on new equipme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equipment preferences and usage behaviors of minimalist campers to forecast emerging equipment and features. The study initiated with a detailed compilation of camping equipment lists, spanning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segmented into decade intervals. This comprehensive list was then refined and utilized to conduct a survey among minimal camping enthusiasts. The survey focused on verifying the equipment actually owned by these campers against the pre-established list. This process helped in accurately determining the gear they possess and use during camping. The list of camping equipment was then finalized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ing this, observa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finalized equipment list. These studies aimed at understanding the usage patterns of the equipment. The research further delved into identifying possible improvements for each piece of equipment and exploring new functional elements. In addition, it focused on uncovering latent needs and pain points of the campers, paving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new camping gea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amping equi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디자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