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7∼1974년 동독의 통일 포기와 이민족론 (The Unification Abandonment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and the Theory of Two Nations between 1967 and 1974)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4.05
34P 미리보기
1967∼1974년 동독의 통일 포기와 이민족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평화들 PEACES / 3권 / 1호 / 57 ~ 90페이지
    · 저자명 : 이동기

    초록

    1967년부터 동독의 지도자들은 양독간 대결이 새로운 단계로 진입했고 서독 사회 내부에 정치변화의 가능성이 없다고 평가하며 독일통일 전망을 포기했다. 사통당 주요 지도자들은 사회주의를 독점자본주의와 통일시키는 것은 물과 기름을 섞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동독 지도부의 독일통일 포기와 민족 노선 변경은 한편으로는 서독 기민련 정부의 완강한 태도에 대한 실망 탓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독 사민당의 ‘우경화’에 대한 비관적 현실 인식의 결과였다. 사민당과의 동맹, 즉 서독과 동독 사이에 노동계급 통일 대오를 결성함으로써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은 완전히 사라졌다. 오직 동독 사회주의 체제의 강화만이 독일 민족의 의미 있는 발전으로 여겨졌다. 동독의 이민족론은 1969년 서독 사민당-자민당 연정의 ‘일민족 이국가’ 주장에 맞선 것이었다. 사통당 민족 이론가들에 따르면, 서독에는 부르주아 민족이 잔존하고 있으며, 동독에서는 사회주의 민족이 형성되었다. 국가의 계급 성격과 계급투쟁의 결과가 민족의 차이를 낳는다는 것이 새로운 민족관의 전제였다. 서독과 동독은 “질적으로 유형이 다른 민족”으로 간주되었다. 서독에 대한 동독의 거리두기와 민족 정책 차이의 강화는 양독 모두에게 망상적 통일논의나 민족주의 담론을 벗어나 현실적 평화정치가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동독은 서독과의 관계와 국제 정치 무대에서 실질적인 국가 인정과 체제 존중을 완전히 확보했다. 하지만 동독은 동시에 평화정치의 역설적 성과로 내부적으로는 붕괴의 도정에 들어섰다. 동독에서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것은 오히려 통일 후였다.

    영어초록

    From 1967, GDR leaders began to abandon the prospect of a national reunification of Germany, believing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German states had entered a new phase and that there was no possibility of political change within West German society. The SED leadership argued that the unification of socialism and monopoly capitalism was like mixing water and oil. The East German leadership’s rejection of German reunification can be seen primarily as a result of disappointment with the stubborn attitude of the West German conservative government. However, it was also the result of a East German communist pessimistic perception of reality with regard to the “shift to the right” of the West German social democrats. The belief of the SED that reunification could be achieved through an alliance with the SPD, i.e. through the formation of a unified workers’ solidarity between West and East Germany, had completely disappeared. Only the strengthening of the East German socialist system was seen as a meaningful development for the German natio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completely distanced itself from West Germany and insisted on the two-nation theory, so that both countries had to go beyond the unification discourse in order to achieve peace. East and West Germany avoided conflict over reunification and national politics and were able t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