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도 거주 조선족의 언어 능력과 언어 태도 (A Study on the Language Capacity and linguistic attitudes of Korean-Chinese People in Qingda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0.11
32P 미리보기
청도 거주 조선족의 언어 능력과 언어 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23호 / 181 ~ 212페이지
    · 저자명 : 오성애

    초록

    본고는 중국의 조선족 신흥 집거지로서의 대표적인 도시인 청도의 조선족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중국 조선족 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해체와 재편이다. 본 연구는 새롭게 형성되는 조선족 집거지에서 일어나는 조선족들의 언어 현상을 현지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0년 5월부터 8월까지 청도에서 예비조사, 본조사, 추가조사를 거쳐 수집된 자료이다. 설문지는 총 500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40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회수율 81%).
    청도 거주 조선족들의 언어 능력과 언어 태도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발견되었다. 언어 능력면에서는 첫째, 청도 조선족들의 조선어 보존 정도는 비교적 높고 중국어 능력도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둘째, 각 언어 영역 능력별로 보면 조선어 구사력이 가장 높고 한국어 이해력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구사력과 작문력에서는 조선어가 중국어에 비해 우세하나 독해력 면에서는 중국어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출생지별로 언어 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요녕성 출신자들의 중국어 능력이 기타 지역에 비해 높고 조선어 능력은 연변 출신자들이 높게 나타났다.
    언어 태도 면에서는 첫째, 청도 조선족들은 대부분 조선말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편이다. 둘째, 세대별로는 학생 세대는 중국어 선호도가 높고 부모세대로 갈수록 조선어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본인, 자녀, 배우자에 대한 희망 언어 태도에서는 ‘본인’과 ‘자녀’의 희망 언어는 중국어가 높고, ‘배우자’의 희망 언어는 조선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조선족 사회에 많이 사용되길 바라는 언어(기대 태도)에 대한 응답에서는 조선어가 가장 많은 반면에 쓰이게 될 것 같은 언어(예측 태도)에서는 한국어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세대별, 청도 거주기간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Qingdao has become the emerging locality of Korean-Chinese people. This paper researches the linguistic competence and linguistic attitudes of Korean-Chinese people living in Qingdao. The data information in this paper is derived from the survey that was done during May 2010 to August 2010. Participants of the survey are Korean-Chinese people living in Qingdao. During the process of this survey, 500 questionnaires were sent and 405 available questionnaires were taken back.
    By analyzing the linguistic competence and linguistic attitudes of Korean-Chinese people in Qingdao, we can discover some phenomena.
    In the linguistic competence aspect: First, in general, Korean-Chinese people in Qingdao have a higher rate of 'Joseonmal'(the Korean language used by Korean-Chinese people in China) maintenance, and their level of Chinese is comparable to their level of Joseonmal. Seco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different linguistic competence,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y have the highest ability of Joseonmal oral expression, but their comprehensive ability of Joseonmal is the lowest. In the aspects of oral expression and writing, Korean-Chinese people have higher Joseonmal ability than Chinese ability; while they have higher Chinese ability in reading than Korean national minority language ability. Third, by comparing language ability of Korean-Chinese people born in different place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people who were born in Liaoning province have higher Chinese ability, while people who were born in Yanbian have higher Joseonmal ability.
    In the linguistic attitudes aspect: First, most of Korean-Chinese people in Qingda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Joseonmal.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orean-Chinese people in different age groups, it can be found that young generation likes Chinese more than Joseonmal, while the parent generation likes Joseonmal more than Chinese. Third, when answering which language do they hope they and their family members are good at, most of them hope that they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can be good at Chinese, and most of the respondents hope that their mates can do well in Joseonmal. Fourth, in the aspect of the mainstream speech in Korean-Chinese society in the future, most of the respondents hope it will be Joseonmal. However, most of the respondents think it will be the South Korean language which will become the mainstream speech in Korean-Chinese society. The result above is different according to different ages and different periods of time they live in Qingda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