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일본의 통합교육 관련법 비교 연구: 유엔「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제24조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Laws of Inclusive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Focused on Article 24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UN CRPD))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4.03
37P 미리보기
한국과 일본의 통합교육 관련법 비교 연구: 유엔「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제24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교육연구 / 34권 / 1호 / 75 ~ 111페이지
    · 저자명 : 이희복, 김미진, 구은정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제24조에 따라 한국과 일본의 통합교육 관련법을 비교·분석하여 국제사회의 기준에 부합하는 통합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제24조 조문을 토대로 분석 준거를 개발하여 양국의 통합교육 관련법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 모두 통합교육 철학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나, 일본은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에 따라 법을 개정하여 통합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법적 기반을 체계적으로 마련하고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 추진을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는 양국 모두 법률에 명시하고 있으나 한국은 특수교육 정책 중심인 반면에 일본은 다양한 부처 간 정책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셋째, 통합교육 운영 기관 차원의 지원에 대해 한국은 일본보다 해당 내용을 법률에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나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이나 가이드라인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에서 발표한 최종 권고안에 따라 한국 통합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필요한 법적·환경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w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according to Article 24 of the UN CRPD,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necessary for realizing inclusive education that meets the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ethods〕 To achieve this,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the text of Article 24 of the Convention, and the inclusive education laws of both countries were compared.
    〔Result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untries have established legal foundations for the philosophy of inclusive education, but Japan has systematically laid the legal groundwork for the construction of an inclusive education system by revising its laws in accordance with the UN CRPD. Seco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for promoting inclusive education are specified in the laws of both countries, but whereas Korea focuses on special education policies, Japan manages policies comprehensively among various ministries. Third, in terms of support at the level of institutions operating inclusive education, Korea specifies the relevant content in law more concretely than Japan, bu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manuals or guidelin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oposals were made for the legal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in line with the final recommendations issued by the UN CRP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