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기관 이원화의 부작용과 헌법 제107조 제2항의 개정방향 (A Study on the Problematics of the Korean Dualistic System of Judicial Review of Administrative Orders and Rules and a Proposed Amendment to the Article 107 Section 2 of the Korean Constitution)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4.11
47P 미리보기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기관 이원화의 부작용과 헌법 제107조 제2항의 개정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헌법재판연구 / 1권 / 39 ~ 85페이지
    · 저자명 : 정태호

    초록

    본고의 목적은 헌법 제111조 제1항 제5호에 의한 헌법소원제도를 통해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기관이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으로 이원화된 이후 대법원이 헌법재판소의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권한을 약화 내지 무력화시키기 위하여 취하고 있는 다양한 시도의 문제점을 헌법 제107조 제2항에 대한 상세한 해석론을 통해 입증하는 한편,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사이의 권한갈등의 발원지이자 헌법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헌법 제107조 제2항의 바람직한 개정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고는 특히 헌법 제107조 제2항의 재판의 전제를 선결문제성이 아닌 구체적 사건성으로 재해석할 수있다는 전제하에 명령・규칙의 위법성을 다투는 본안적 항고소송을 도입하려는 대법원의 행정소송법 개정안은 헌법 제107조 제2항의 문구・체계적 해석은 물론 발생사적・역사적 해석, 나아가 목적론적・헌법정책적해석, 비교헌법적 해석의 결과에도 상치하고, 따라서 위헌임을 입증하였다.
    나아가 헌법 제111조 제1항 제5를 재판소원이 가능하도록 개정하여 모든 종류의 명령・규칙의 위헌여부에 대하여 헌법재판소에게 최종적 심판권을 부여하는 방안이 현재와 같은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기관이원화로 인한 각종 부작용을 해소하는 최선의 대안이며, 명령・규칙의 위헌・위법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되었을 때 헌법재판소에 제청하도록 헌법 제107조 제2항을 개정함으로써 명령・규칙에 대한 규범통제기관을헌법재판소로 일원화하는 것은 차선책임을 논증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various attempts made by the Korean Supreme Court(KSC), vested with the power of final incidental judicial review of administrative orders and rules under Article 107 Section 2 of the Korean Constitution(KC), for the purpose of depriving of or weakening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KCC)’s power to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administrative orders and rules in the procedure of constitutional complaints under Article 111 Section 1 (5) of the KC are unconstitutional or improper in a constitutional policy perspective, and to propose an amendment to Article 107 Section 2 of the KC which would provide a desirable solution to the main jurisdictional conflict between the KCC and the KSC.
    This article particularly proves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KSC-proposed bill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mandating that the appellate litigations on the constitutionality of administrative orders and rules are to be filed to a High Court; for that type of litigation as a concrete judicial review violates Article 107 Section 2 of the KC which provides for the KSC to review the above-mentioned legal norms only if their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is at issue in a trial.
    In my view, it is contradictory to potential textual, systematic, historical, teleological, and comparativ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s of Article 107 Section 2 of the KC to interpret the phrase “if their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is at issue in a trial” not as a prerequisite legal issue, but as a case or controversy itself in order that the Legislature is able to introduce a concrete judicial review to be exercised by ordinary courts on the constitutionality of administrative orders.
    Finally, this article considers it as the best constitutional policy to rewrite Article 111 Section 1 (5) so as to explicitly encompass constitutional complaints on the decisions of ordinary courts because this amendment would make it possible for individuals to file constitutional complaints directly on the decisions of ordinary courts and at the same time indirectly on the constitutionality of administrative orders which were applied to the court decision; this enables the KCC to have the power of final judicial review of all administrative orders, which not only eliminates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 current dualistic system of judicial review thereof but also enhances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rights already provided through the system of incidental judicial re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헌법재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