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산(出産)’과 ‘황국신민(皇國臣民)’의 미래- 김남천의 「어떤 아침(或る朝)」을 중심으로 (“The birth of a baby” and the future of “Imperial subjects”- On Kim Nam-cheon's “A Certain Morning”)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3.12
39P 미리보기
‘출산(出産)’과 ‘황국신민(皇國臣民)’의 미래- 김남천의 「어떤 아침(或る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30호 / 429 ~ 467페이지
    · 저자명 : 이진형

    초록

    이 논문은 「어떤 아침(或る朝)」의 형식적 특성에 주목하여 서술된 내용을 분석하고, 작품을 둘러싼 정치적․이데올로기적 환경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그 의미까지도 해명하고자 했다.
    1940년대 전반 김남천은 인물들의 설정과 배치를 중심으로 소설의 형식을 이해했다. 「두 의사의 소설」에서 그는 적극적(긍정적) 주인공을 설정하고 그 주위에 유형화된 인물들을 배치하는 것보다,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전형적 성격)을 설정하고 배치하는 것이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 데 더 적절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이와 같은 생각은 「어떤 아침(或る朝)」의 인물 설정 및 배치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이 작품에서 중심 인물인 ‘나’는 관찰자로 설정되어 있으며, 식민지 말기 조선 사회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이 ‘나’를 매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인물 설정 및 배치를 통해서 「어떤 아침(或る朝)」은 식민지 지식인의 몰락과 계몽 이데올로기의 쇠퇴 이후 가족 이데올로기가 발흥하고 결국에는 황국신민 이데올로기가 지배력을 행사하게 되기까지 조선 사회의 변화 과정뿐만 아니라, 식민지 말기 조선인 황민화 기획이 조선인들의 일상적 삶에서 작동하는 방식들(군가 부르기, 라디오 체조, 국민학교 제도)까지도 보여줄 수 있었다.
    「어떤 아침(或る朝)」에 대한 이해에서 ‘나’의 성격, 즉 ‘모방자의 모방자’이자 ‘남존여비론자’라는 성격은 매우 중요하다. 우선 모방자의 모방자라는 성격은 조선인 황민화 기획의 내적 논리(모방 메커니즘)를 드러내며, 이를 통해 식민지 조선인들이 동일성(고쿠민=황국신민)과 위계적 이질성(모델로서의 고쿠민≠모방자로서의 황국신민)의 역설적 혼합 상태에 있음을 폭로했다. 다음으로 남존여비론자라는 성격은 불평등 문제를 직접적으로 주제화하는 가운데, 식민지 말기 조선 사회란 평등의 약속 속에서 불평등 관계를 재생산하는 사회임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이 작품은 아이의 출산이라는 모티브를 통해서 사회의 역설적 상태를 역사화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아이의 미래가 문제로 제기되는 순간, 미래라는 시간의 속성(미결정성)으로 인해 조선 사회는 그러한 역설적 상태를 반복할 필연성과 더불어 역설적 상태를 해체할 가능성 역시 내포한 것으로 드러날 수 있다.
    「어떤 아침(或る朝)」은 식민지 권력에 대한 협력이나 저항으로 규정되기 힘든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식민지 사회와 황국신민의 역설적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혹은 그것을 대신할 수 있는 사회와 주체의 비전이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 대신 이 작품은 협력과 저항을 조건짓는 조선인 황민화 기획 자체를 주제화함으로써 식민지 말기 조선 문학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writing “A certain morning” focusing on its writing style and also interpret what it tries to say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period of the work.
    Kim Nam-cheon in 1940s understood the novels focusing on the setting and disposition of characters. In the essay “Novels of tow doctors”, he thought that rather than setting the main character having positive (active) personality for the work, it would be better to set the various characters (the type) living in ordinary life to show his theme in the book. His thought like this was realized in the book “A Certain Morning”.
    In this work, a centeral character “I” is set as an observer. There are also a lot of various kinds of characters surrounding “me” in Late Colonial Era. With this kind of setting, he could show the fall of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colonialism, fall of enlightenment idea, appearance of family ideology and loyal man ideology as well as the lifestyle of Korean under the project of Japanese imperial subjectivation (including singing the Japanese military songs, physical exercises and elementary school system).
    In the understanding of “A Certain Morning”, the personality of “I” is critical as it has the idea of “Imitator of imitator” and “person who respects men but looks down upon women”. First as the personality of imitator of imitator, he showed the internal logic of the project of Japanese imperial subjectivation (imitation mechanism), and exposed the paradoxical mixture of identity (kokumin = loyal man to Japan) and hierarchical heterogeneity (kokumin as a model ≠loyal man to Japan as imitator). Next, the personality of person who respects men but looks down upon women showed the inequality of society. It showed that the society in Late Colonial Era was where the unequal relation was kept to continue while the promise of equality was told.
    In this work, the motive of “the birth of a baby” went forward to historize the paradoxical status of society. As the future of the baby was raise as a question, the sociey in Late Colonial Era was related to the necessity of repetition of the paradoxical status and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on of the paradoxical status.
    “A Certain Moring” is hard to define as work for either the cooperation with the imperial power or the resistance to it. It is because in this work, there is no way to get out of the paradoxical status of colonial society and Imperial subjects or any visions alternative to this status. Instead, this work has thematized the project of Japanese imperial subjectivation itself that conditioned the cooperation with and resistance to the colonialism, so showed another possibilities in the literary works of Korean's in Late Colonial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