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종조 정치 상황에 따른 정치적 글쓰기 -최명길에 대한 포폄을 중심으로- (Political Writing following the Political Situation -Focused on the Praise and Censure on Choi Myeong-gi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06
34P 미리보기
숙종조 정치 상황에 따른 정치적 글쓰기 -최명길에 대한 포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6호 / 145 ~ 178페이지
    · 저자명 : 김민혁

    초록

    문학은 작가의 의도와 생각대로 창작되며 작가의 자의식이 반영되는 글쓰기이다. 하지만 글쓰기는 자의식의 반영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외부 환경, 특히나 정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창작된다. 조선의 사대부들도 의도대로만 글을 지을 수는 없었다. 더욱이 숙종조의 독특한 환국 정치 상황 아래에서 쓰인 글은 각 개인과 가문, 당파의 이해관계를 두고 치열한 정쟁 끝에 완성되는 것이었다.
    송시열은 1671년 「삼학사전」을 지었고, 1677년에 남구만과 이민서의 요구에 따라 수정하였다. 그리고 1683년 「삼학사전」의 부기를 달아 자신이 수정한 사실을 되돌려 놓는다. 수정 과정은 숙종조의 정치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 1677년 최명길의 후손들은 촉망받는 선비들이었기 때문에 남구만과 이민서 같은 당대의 권신들이 「삼학사전」 수정을 도왔다. 또한 남인들이 전제 정권을 이루고 있던 정치 상황에서 서인끼리의 분쟁을 꺼린 것도 영향이 있었다. 1683년 「삼학사전」의 부기를 작성한 것 역시 정치 상황 때문이다. 1680년 경신환국 이후 서인 정권이 만들어졌고 노․소 분기가 일어난다. 이후 소론 계열과의 다툼으로 송시열은 「삼학사전」의 부기를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최석정은 1691년 할아버지인 최명길의 신도비를 건립하려 한다. 그러나 최명길의 행동에 대한 평가에 대해 신도비명의 찬술을 맡은 남구만과 의견이 엇갈리고, 또 당대의 정치 환경이 변하여 신도비 건립은 실패하게 된다. 그 후 최석정은 영의정이 되어 위상을 확고히 하고, 김창협․김창흡 형제와의 갈등으로 최명길의 신원 회복이 필요해지자 신도비 건립을 재추진 하였다. 신도비명의 찬술을 맡은 박세당은 당시 문제시되었던 최명길과 이경석의 비문을 잇달아 찬술하고 노론의 사상과 인물을 비판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최명길에 대한 평가는 계속하여 요동친다. 삼학사를 청에게 넘긴 간인이었다가 관련 내용이 삭제되기도 하고 부기를 통해 이러한 내용이 있었음이 밝혀져 오명을 얻기도 하였다. 비슷한 정치 철학을 공유했던 소론 집단 내에서도 최명길의 행동이 의리에 근거한 것인지, 상황에 따라 어쩔 수 없는 행동이었는지 해석이 엇갈렸다.

    영어초록

    The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especially political situation. In addition, pieces of writing written under the distinctive changing politics situation of Sukjong‘s period were completed at the end of intense political strife with respect to the interests among individuals, families, and factions.
    Song Siyeol wrote Samhaksajeon in 1671. And he modified it according to the demand by Nam Guman and Lee Minseo who were asked by Choi Seokjeong, Choi Myeong-gil’s descendants, in 1677. And he actually set back the facts he modified by appending notes to Samhaksajeon in 1683. The modification process is involved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Choi Seokjeong were promising classical scholars in 1677 so the influential vassals at that time such as Nam Guman and Lee Minseo modified Samhaksajeon. Also that Seoin(西人) members were unwilling to fight each other in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Nam-in group was forging the tyranny was also influential. Seo-in power was made and Noron(老論)- Soron(少論) divergence happened after political upheaval in 1680(庚申換局). Afterwards, it seems that Song Siyeol wrote the appending notes of Samhaksajeon due to the fight with Soron.
    Choi Seokjeong tried to construct the cenotaph for Choi Myeong-gil in 1691. However, the erection of cenotaph failed because he disputed with Nam Guman in charge of the compilation of cenotaph epitaph about the evaluation on Myeong-gil’s behavior, and the political circumstance at that time varied. Afterwards, Choi Seokjeong became a prime minister to solidify his status and propelled the erection of cenotaph again as he felt it was necessary to restore Choi Myeong-gil’s identity due to the conflict with Kim Changhyeop. Park Sedang in charge of the compilation of this cenotaph epitaph successively edited the epitaph by Choi Myeong- gil and Lee Gyeongseok which was controversial in late Joseon era when Noron-Soron divergence was intensifying, and criticized the idea and figures of Noron. The evaluation on Choi Myeong-gil fluctuated continuously during this process. Since it was revealed through the appending notes that he was a crafty fellow who handed over Samhaksa to Qing, he suffered disgrace. Even Soron who shared the similar political philosophy discussed if Choi Myeong-gil’s behavior was based on the loyalty or he acted helpless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