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법 제398조 자기거래제한 규정의 쟁점 및 개선방안 (The Issues & Proposals of Self-dealing Restrictions under Commercial Act §398)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20.04
24P 미리보기
상법 제398조 자기거래제한 규정의 쟁점 및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과 기업 연구 / 10권 / 1호 / 129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효신

    초록

    상법 제398조는 이사 및 주요주주 등 특수관계인이 회사와 거래하는 경우 이익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거래를 제한하고 있다. 동규정은 2011년 상법개정시 대폭 개정하 였으나 실제 적용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대한 해석론과 입법적 개선사 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거래제한의 적용대상에 비상장회사의 주요주주도 포함하고 제398조 제3호에 직계존비속의 배우자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개정해야 한다. 둘째 자본 거래에 대하여 자기거래제한이 적용되는지 문제된다. 회사가 발행하는 신주를 이사 등이 제3자배정방식으로 인수하거나 실권주를 인수하는 것은 이해충돌의 우려가 있으므로 자기거래제한에 포함된다고 본다. 합병은 합병비율의 결정이나 소액주주 축출 등 공정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므로 합병규제에 더하여 자기거래제한이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정관에서 자기거래승인을 주주총회권한으로 정할 수 있는가, 그리고 주주전원에 의한 동의로 승인이 가능한지가 문제된다. 주주와 경영진의 이해상충 국면에서는 이사회가 열리지 않은 경우 주총특별결의로써 이사회승인에 갈음할 수 있으며 주주전원의 동의로 이사회에 갈음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넷째 공정성 요건은 입법론적으로 이사회의 승인과 실질적 공정성을 선택적 요건으로 두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제398조에서 공정성을 필수적 요건으로 규정함에 따라 사후에 사법심사에 의해 거래의 효력이 좌우되어 거래의 안전을 해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공정성 요건을 필수적 요건으로 규정한 경우에는, 보완적 방법으로 그 증명책임을 자기거래의 효력을 다투는 자에게 전환되도록 법률상 추정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어초록

    Article 398 of Commercial Act restricts self-dealing like transactions between specially related persons such as directors, major shareholders and their company in order to prevent the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hem. Amended on a large scale in 2011, it has still had several issues in practical application. So the following interpretations and legislative improvements need to be introduced.
    First, with respect to the subject of application, it should be amended to include major shareholders of an unlisted company in addition to the shareholders under Article 542-8 (2) 6. It should also be done to include the spouse of lineal ascendants and descendants under the subparagraph 2 of article 398.
    Second, whether it is applicable to capital transactions, the case where directors, etc.
    subscribe to new shares issued by their company in a way of allotting the shares to other persons rather than its shareholders should be interpreted to fall in the scope of self-dealing. The case that directors, etc. subscribe to forfeited stock should also be treated as such. It is because these cases have a potential risk of conflict of interest.
    As the merger of companies inherently has fairness issues like determining the merger ratio, or squeezing minority shareholders out, the self dealing restri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requirements on fairness as well as specific merger regulations.
    Third, with regard to the authority of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are the articles entitled to delegate the right to permit the self-dealing to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shareholders and management, unless a meeting of board of directors is held, the special resolution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can be treated as the approval of director board if there is unanimous consent.
    Finally, with regard to the fairness requirement, either the approval of director board or the fairness requirement should, de lege ferenda, be an optional requirement. The article 398 which requires the fairness requirement to be mandatory can make the legal effect of transactions unstable depending on judicial decisions. If the current mandatory requirement could not be removed, we need to introduce a legal presumption to shift the burden of proof to the claimant seeking to hold the directors, etc. liable in order to make up for the fa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