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자배기토리권 무가와 판소리의 진양조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Jinyangjo of Ritual Singing and Pansori in Yukjabaegi Torygw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09.08
39P 미리보기
육자배기토리권 무가와 판소리의 진양조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5권 / 2호 / 119 ~ 157페이지
    · 저자명 : 서정민

    초록

    본고는 판소리의 발생을 논한 ‘판놀음기원설’에 제기된 패기소리와 어정소리, 즉 판
    소리와 무가를 육자배기토리권의 지역으로 한정하여 진양조장단을 중심으로 음악적인
    차이점을 연구한 글이다.
    ‘판놀음기원설’에서 제기된 패기성음이란 판소리에서 쓰이는 성음으로 ‘항이 크고
    수리성이 낀’, ‘약간 텁텁하고 예리하고 윤기가 있는 높고 굵은’ 목소리를 말한다. 이것
    은 무가를 부르는 어정성음과 구별이 되는데, 두 장르의 음악적 특징을 개괄적으로만
    설명하여 아쉬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장단․붙임새․선율․형식 등을 중심으로 무가
    와 판소리의 음악적인 특징과 차이점을 밝혔는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양조라는 같은 장단을 사용하지만 장단의 단위에서 차이점이 있다. 무가는
    6박이, 판소리는 보통 24박(4각)이 한 장단의 단위를 이룬다.
    둘째, 무가는 제 5․6박을 쉬는 경우가 드물며, 제 3․4박의 선율을 길게 빼어 이
    어 부르는 특징이 있다. 판소리는 제 5․6박을 쉬는 경우가 많고, 반대로 제 5․6박
    을 소리할 때에는 무가와 달리 뜻이 있는 사설로 그 박을 채우는 경우가 많다.
    셋째, 붙임새의 경우 무가는 대마디 대장단을 사용하지만, 판소리는 대마디 대장
    단․엇붙임․잉애걸이․교대죽 등 다양한 붙임새를 사용한다.
    넷째, 음조직은 같으나 음의 기능에서 차이가 있다. ‘미-라-도시’음의 기능은 같지
    만, ‘레’음과 ‘솔’음에서 기능의 차이를 보인다. 무가는 ‘레'’음을 특정 선율에서 떠는 음
    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도'’음으로 퇴성하는 선율이 많다. ‘솔’음은 사용하지 않지
    만, 옥타브 위 음인 ‘솔'’음을 짧은 시가의 시김새로 사용한다. 판소리는 ‘레’음을 독자
    적으로 사용하고 떠는 음의 기능은 없으며, ‘도’음으로 퇴성하는 경우가 드물다. ‘솔’음
    은 드물게 사용하는데, 이때에는 일시적인 전조가 일어나 자연스러운 선율로 연결된
    다. 옥타브 위 음인 ‘솔'’음은 무가와 달리 긴 시가로 소리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무가는 독창과 후렴부분에서 종지음이 다르게 나타난다. 독창부분의 한 절
    안에서의 단락 종지음은 ‘미’음과 ‘도-시’음이며, 한 절의 끝은 ‘미’음으로 종지한다. 후렴부분은 ‘라’음으로 완전 종지한다. 판소리는 대목 안에서의 종지음은 ‘미’․‘라’․
    ‘도'’․‘미'’음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대목의 끝은 ‘라’음으로 완전 종지한다.
    여섯째, 무가는 전조가 일어나지 않으나, 판소리는 전조현상이 나타난다.
    일곱째, 무가는 통절형식이 일반적이나, 진양조로 짜여진 3개의 무가에서는 유절형
    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매우 특징적이다. 판소리는 통절형식이다.
    이와 같이 무가와 판소리의 음악적인 면에서의 차이를 밝혀냈으나, 음색이나 요성
    의 깊이, 음들의 간격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한계가 따른다. 후에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무가와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 중에서 성음적인 차이를 밝
    힐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sical difference Paegisory and Eojeongsori, or pansori and
    ritual singing, stated in ‘Pannoreum-giwonseol’, which is a documentation on Pansori, in
    the area of Yukjabaegi Torigwon.
    Paegiseongeum, mentioned in ‘Pansoreum-giwonseol’, indicates a voice sound used in
    pansori that is ‘loud and rough’, and ‘think, sharp, glossy, high-tone, and deep.’ This is
    different from eojeonseongeum, the voice type used for ritual singing. Sinc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enres have been introduced only in general, this study specifi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ritual singing and pansory focusing on rhythm,
    rhythmical techniques, melody, and form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ame rhythm called Jinyangjo is used, the unit is different. While
    ritual singing adopts 6 beats, Pansori 24 beats(4 gak) as a unit of one rhythm.
    Second, the ritual singing rarely has a pause at the 5th or sixth beat, and the melody
    of the 3rd and 4th beats is extended in general. Pansori, on the contrary, has a pause at
    the 5th and 6th beats, and meaningful words fill the 5th and 6th beats unlike ritual
    singing.
    Third, as to rhythemical techniques, ritual singingadopts ‘daemady daejangdan’, while
    Pansori uses various techniques such as ‘eotbuchim’, ‘ingaegeori’, and ‘gyodaejuk’ as well
    as ‘daemady daejangdan.’
    Fourth, the sound functions are different although the arrangement is the same. For
    example, the function of ‘mi-la-do-si' is the same, but the function of ‘re’ and ‘sol’ is
    different. The ritual singing uses ‘re’ sound with a function of wobbling at a certain melody
    and faints with ‘do’ sound. Although ‘sol’ sound is hardly used, ‘sol’ higher than the
    octave is used for a short poetry as sigimsae. Pansori uses ‘re’ sound in a unique manner,
    and has no wobbling function. It is also rare to faint with ‘do’ sound. The sound of ‘sol’
    is rarely used, but a transition connects to a melody naturally and temporarily when it is
    used. The sound of ‘sol’ over the octave is used in a long poetry unlike ritual singing.
    Fifth, the ritual singing has a different ending sound in a solo or a refrain. The ending
    sound of a part of the section in a solo is ‘mi’ and ‘do-si’ in general, and the ending sound
    of the whole section ends with ‘mi.' A refrain completely ends with a ‘la' sound. As to
    Pansori, the ending sound of a passage varies from ‘mi’ to ‘la’, ‘do’, and ‘mi.’ The passage
    ends completely with ‘la.’
    Sixth, the ritual singing has no transition while Pansori does.
    Seventh, ritual singing is of the through-composed form in general, while the three pieces
    of ritual singing with Jinyangjo are of the strophic form, which is very significant. Pansori
    is of the though-composed form.
    The analysis above clarifies the musical differences between ritual singing and Pansori but
    the tone color, depth of shaking sounds, and the gap between sounds were not examined,
    which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y on these areas will
    clarify the difference in terms of phonetics between ritual singing and panso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