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요한 예술철학 연구 시론 (A Preliminary Research for Yohan Zoh's Philosophy of Ar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0.12
28P 미리보기
조요한 예술철학 연구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32권 / 199 ~ 226페이지
    · 저자명 : 이인범

    초록

    철학자 조요한(1926-2002)은 생전에 『예술철학』(1973),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1988), 『한국미의 조명』(1999),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1993), 『지혜를 사랑하는 마음』(1993)같은 저작들을 발표했다.
    식민지시대에 성장기를 보내고 6․25 한국전쟁을 거치며 그는 난파당한 현실에서 초월을 체득하는 길을 열어준 칼 야스퍼스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의 영향 속에서 영원을 향하는 소크라테스와 예수 그리스도, 그리스철학과 기독교를 출발점으로 철학하는 길에 접어들어 학사학위청구논문으로 「키에르케고르와 실존」(1954)을 제출하였다. 이어 석사학위청구논문으로 「초기 희랍철학에 있어서의 동방사고의 영향」(1958)을, 박사학위청구논문으로 「Aristoteles 철학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1975)를 제출하며 청년기의 관심사였던 그리스철학과 기독교 사이의 ‘대치점과 상관관계’에 관한 철학적 관심을 심화시켜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자 조요한은 1973년 『예술철학』을 자신의 첫 저작으로 발표였으며, 작고하기 3년 전인 1999년에는 단행본 『한국미의 조명』을 마지막 저서로 발간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예술철학은 그가 처음 철학적 과제로 설정했던 그리스철학이나 기독교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필자의 이 논문은 철학자 조요한의 예술철학 연구 업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하기에 앞선 예비적 시론으로서, 이 글은 그동안 발표된 조요한의 철학 텍스트들에 대한 서지학적 조사연구와 더불어 그의 예술철학이 지닌 근본문제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의 전 철학체계 안에서 어떠한 위상을 지니는지를 밝힌다.
    『예술철학』은 미학강의 노트에 근거한 제1부 ‘예술철학의 기초개념’과 제2부 ‘현대예술의 과제’와 제3부 ‘예술이론의 몇 가지 문제’으로 구성된다. 제1부는 일제강점기에 고유섭에 의해 미학이 근대적 학문으로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미학과 예술론 텍스트가 부재하던 시절 미와 예술(fine arts) 개념을 철학적으로 정초하고 있다. 반면, 제2부와 제3부의 논문들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에 이르는 기간 동안 잡지들에 발표된 논문들로서 이 시기 한국의 사회 현실과 예술현장의 현안문제들에 대한 철학적 대응이다. 이 각각의 글들은 발표상의 선후 관계나 구조연관을 밝힘으로써 같은 기간 동안 사회 현실이나 예술현장의 이슈들에 어떻게 그가 조응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조요한의 예술철학은 이후 30여 년 가까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나 근대기 기독교와 서구철학의 수용에 관한 연구, 비교예술학이나 미술사방법론같은 방법론적 반성을 거치며 『한국미의 조명』으로 귀결되고 있다. 1999년에 간행된 이 책은 『예술철학』에 실렸던 논문 「한국 조형미의 성격」(1968)에서 시작되는 한국예술의 정신에 관한 철학적 해명 작업의 결정판이다. 조요한은 동양과 서양의 미의식 비교, 한국‧중국‧일본의 조형미의 비교 등 비교예술학적 방법 그리고 한국예술과 종교‧철학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탐구를 통해 자신이 평생 과제로 설정했던 한국예술의 정신에 대한 철학적 해명을 심화시키고 있다. 여기서 그는 한국의 음악미는 무교에, 조형미는 불교에, 생활미는 유교에 근거해 한국예술의 근원적 동인을 탐색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예술정신의 근저에 깔려있는 자연순응의 인생관과 무속신앙을 해명하는 것이 남은 과제 가운데 하나라고 말한다.

    영어초록

    Throughout life of Yohan Zoh (1926-2002), the philosopher had released several books and essays like Philosophy of Art (1973), The Philosophy of Aristotle (1988), An Articulation of Love for Art (1993), An Articulation of Love for Philosophy (1993) and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1999).
    By spending his period of growth in the era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experiencing the Korean War soon after, the philosophy of Søren Kierkegaard and Karl Jaspers captured his attention, and led him to the field of existentialist theory inevitably. As a consequence, he submitted a dissertation, Kierkegaard and Existence (1954) for his BA, which denotes his future interest of Greek philosophy and Christianity toward the Eternal. Since then, Zoh submitted The Influence of Eastern Thought on Early Greek Philosophy (1958) for his master's degree and The Analytical Problem of Aristotelian Philosophy (1975) for his doctorate. Both study reveals how he the deepened philosophical relationship of his early interest by exploring its contraposition and correlation.
    Despite of his philosophical subject matter in academic dissertations that he submitted, his first publication was in fact Philosophy of Art, and the last publication released three years before his death was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In this respect, philosophy of art is bibliographically as important as his accomplishment in Greek philosophy or Christianity. Therefore, this preliminary study is to give a light on Zoh's achievement in art before the fully fledged research take a place.
    Philosophy of Art i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chapter, ‘The Basic Concept of Philosophy of Art’, is based on his given aesthetics talks between the 60's and the early 70's. Although the most of up to date art theories and text were yet not introduced in Korean academic field since the early death of Yu-seob Ko, the chapter is strongly anchored to the use of traditional terms of aesthetics and fine arts of time. The second and the third chapter are entitled as ‘The Task of Modern Art’ and ‘Some Problem with Art Theories’ respectively. Each chapter is written on the basis of his several texts on art, that were also p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above. On the contrast to the first, these two chapters are philosophical analyses of the Korean art praxis. His last book,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thus can be seen as a conclusive answer for one of the text that is included in Philosophy of Art, ‘The Character of Korean Aesthetic Value.’As a philosopher, Zoh picked up the thread that was left out for many years, and dedicated his entire life to elucidate the spirit of Korean art. He methodologically chose comparative science of arts for his investigation, giving examples of contrasting nature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aesthetic, as well as comparing Korean aesthetic value with the art of neighbor countries like China and Japan in sequence. His academic path clearly shows that his love of art and philosophy are conflated in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