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靜庵 趙光祖의 至治的 지도자론 — 謁聖試策을 중심으로 — (Cho Kwang-jo’s ‘Ultimate Governing’ Leadership Theory - focused on 「alseongsi boo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4.11
31P 미리보기
靜庵 趙光祖의 至治的 지도자론 — 謁聖試策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80호 / 137 ~ 167페이지
    · 저자명 : 유현주

    초록

    정암 조광조는 性理學 이념을 바탕으로 道德政治가 구현되는 이상사회를 이룩하고자 노력하였던 사상가이며, 그가 행하고자 한 정치를 至治라고 부른다. 정암에게 있어서 政治란 단순히 지배하고 통치하는 권력유지의 차원이 아니라 修養과 感化의 정치 곧 德治主義의 관점에서 풀이된다. 그리고 덕치의 시작은 지도자인 임금에게 달려있다. 어떠한 인물이 정치지도자가 되느냐에 따라서 국가의 미래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중종은 1510년 직접 謁聖試를 실시하여 策題를 출제하는데, 여기서 정암은 을과 제1인자로 합격한다. 이것이 「謁聖試策」으로 정암 도학사상의 핵심을 담고 있는 매우 중요한 저술이다. 「알성시책」에서 정암은 나라의 기강이 바로 서고 법도가 정해지기 위해서는 오직 임금의 마음에 달려있다고 전한다. 정암이 말하는 지도자의 요건은 4가지로 말할 수 있다. 첫째, 정치지도자는 자신이 지향할 가치적 목표와 정치이념을 확립하여 정치적 목표를 분명하게 제시해야 한다. 정암이 중종에게 이념적 지향처로 내세운 것이 至治主義였다. 둘째, 지치의 구현원리는 공자의 道로써 仁이다. 임금이나 지도자가 되었을 때 仁의 마음에 처하여서 백성들과 한마음이 되어야 함을 말한다. 셋째, 백성들과 한마음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임금인 자신을 수양해야 한다. 스스로를 끊임없이 성찰하고 닦음으로써 표면적으로는 왕의 자리에 있지만 내면은 聖人의 모습을 갖추어야 한다. 넷째, 지치를 이루기 위해서는 군주가 獨治를 하지 않고 반드시 대신을 임명하고 그에게 정사를 위임한 연후에야 다스림의 道가 선다고 하여 군신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군주가 재상에게 政事를 위임하는 宰相政治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주청한다. 정암은 도덕적 인격을 갖춘 군주의 마음을 국가 통치의 근본으로 보고 이상적인 정치의 출발점은 군주의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 여겼다. 정암의 정치 지도자론은 당시의 최고지도자인 임금에게 요청 된 것이었지만, 그 내용은 현대의 정치지도자들에게도 여전히 모범이 되는 내용이며, 마땅히 적용되어져야 한다는 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Jeongam Cho Kwang-jo is a philosopher who tried to achieve an ideal society that moral politics was accomplished by Neo-confucianism. Politics was for jeongam not to be status maintenance which simply governed and ruled but politics of cultivation and moral influence, in other words It can be explained by a perspective of benevolent politics. And the beginning of the benevolent politics is up to the king who is a leader. It seems that the future of the country can be decided by what kind of person becomes a political leaderKing Chung-jong directly conducted (alseongsi)a state examination and set exam questions , jeongam was accepted by Eul-gwa test as the first grad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is writing contains the core of the idea as jeongam dohak "alseongsi book". In "alseongsi book" conveys the right to stand for discipline in the country and that the law is set up in the heart of the king is only jeongam. Can be said of the leaders of four requirements are jeongam say. First, political leaders need to present a clear political objectives established by the value-oriented goals and his political ideology. It was wisdom reign theory that jeongam propounded ideological orientation to king jungjong. Second, implementation of the principles of wisdom reign is perfect virtuetired as Taoism of Confucius. Says that people should be in unison with the heart faced to perfect virtue when they become the king or leader. Third, in order to be the people with one accord this should be the first discipline of his wages. By improving and constantly reflecting himself, even if his position is on the place of the king on the surface, he should have a look inside a sage. Fourth, in order to achieve wisdom reign, it insists strongly for need of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that monarch delegates political affairs to prime minister based on the trust between lord and vassal because reign’s morality gets settled after monarch does not govern by himself but certainly appoints a minister and delegates political affairs.
    Would rightly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the great political minds of the monarch is reported as the root of the country's sovereign rule over the heart, with the character of moral jeongam. Even if jeongam’s political leader theory was demanded to the king who was a supreme leader at the time, the contents is still for modern political leaders to be a role model and has significance for deservedly applying to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