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잡지 『청춘』을 통해 본 최남선의 고시조(古時調) 인식 방향과 그 의미 (Choi Nam Sun's Perception of Kosijo (古時調) and its Significance Represented in the Magazine Chungchun (靑春))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2.08
28P 미리보기
잡지 『청춘』을 통해 본 최남선의 고시조(古時調) 인식 방향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30호 / 125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윤희

    초록

    본고는 1914년부터 발행된 잡지『청춘(靑春)』에 수록된 고시조(古詩調)의 특징을 고찰하여 최남선이 1910년대에 고시조를 인식하던 방향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춘』에 고시조가 수록된 양상을 살펴보면 한역시조를 소개한 것은 물론 시조의 내용에 부합하는 그림 속에 시조를 삽입한 점, 그리고 고시조 문학에 대한 정선(精選) 의식을 본격화하고 있는 점 등에서 『소년』의 경우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고시조 문학에 대한 최남선의 인식이 점차 다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근대적 화법을 도입한 안중식은 『청춘』에 네 편의 시조를 회화로 형상화했는데 이는 최남선이 고시조를 잡지에 소개하면서 대중적 친화력을 지향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었다. 또한『청춘』창간호에는 <시조한역(時調漢譯)>이라는 항목 내에 시조 9수와 한역시17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독자적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역시를 창작하려한 신휘, 이유원의 작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최남선은 하나의 시조를 한역하는 과정에서 보다 다채로운 시상으로 문학적 구성이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했던 것이다.
    또한 1918년에 발간된 『청춘』12호에는 <고금시조선(古今時調選)>이라는 항목이 확인되는데 최남선은 이를 통해 시조 문학에 대한 선별 의식을 체계화하려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고금시조선> 서문의 전체 맥락을 고려할 때 최남선은 ‘자국어’로 된 민족 문학으로서 ‘시조의 문학사(文學史)’를 확립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작품의 ‘시대(時代)’를 기준으로 통시적 계열화를 시도한 『대동시선(大東詩選)』의 편집 체제를 긍정적으로 보고 그것을 시조 문학에 적용하여 <고금시조선>을 구성했던 것이다.
    주지하듯 1920년대 중반 이후 최남선은 본격적인 ‘시조론’을 전개하면서 ‘시조부흥운동’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러므로 1910년대에 발간된 잡지『소년』과『청춘』을 통해 확인되는 고시조에 대한 최남선의 인식과 그 추이도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조 문학론이 표면화되기 이전 시기부터 지속적으로 배태되어왔던 최남선의 의식을 두 잡지에 고시조가 소개된 양상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ttempts to discuss the perception and significance of kosijo (古詩調) through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pieces from the magazine, Chungchun (靑春), published since 1918.
    Ahn Jung Sik, who introduced modern speech, visualized four pieces of sijo in painting. His endeavor accounts for Choi Nam Sun's intention to achieve more public appeal by including kohojo in the magazine. In addition to the visual materials, Chungchun had nine pieces of sijo and one translated in Chinese under the title of Sijohanyok (時調漢譯). Choi seems to focus on the possibility that literary structure could be broadened into more varied poetic concepts when sijo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t indicates that sijo also had as much room for annotation as translated poems.
    The selection became more systematic under Kokumsijosun (古今時調選) in Chungchun vol. 12 published in 1918. According to the context revealed in the introduction of Kokumsijosun, Choi attempted to establish the literary history of sijo as the national literary written in the native language. He organized Kokumsijosun by applying the compiling method of Taedongsisun (大東詩選), which adopted a chronological order.
    As well known, Choi, proclaiming the theory in sijo in earnest since the mid 1920s, led the revival of sijo.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his perception in sijo found in the magazines, Sonyun and Chungchun, published in the 1910s is highly noteworth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the chain of his thoughts matured and developed before the theory in sijo was surfaced is represented in kosijo published through these magaz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