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정 국제사법상 소비자계약의 특칙에 관한 연구 - 개정법 제42조와 제47조의 문언에 기초한 해석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cial Provisions of Consumer Contract under the Amended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 Focusing on the Text of Articles 42 and 47 of the Amended Act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2.06
42P 미리보기
개정 국제사법상 소비자계약의 특칙에 관한 연구 - 개정법 제42조와 제47조의 문언에 기초한 해석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사법연구 / 28권 / 1호 / 295 ~ 336페이지
    · 저자명 : 이연

    초록

    소비자거래는 교섭력의 격차, 정보의 비대칭성 등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계약의 일방 당사자로서의 소비자에 대한 특별한 보호가 요청된다. 국제소비자계약에서 이와 같은 보호는 많은 경우 특칙의 매개를 거쳐 국제재판관할의 판단과 준거법의 지정 단계에서 이루어 진다. 이것이 국제사법상 소비자보호의 문제이다. 한국은 일찍이 2001년 국제사법을 제정하면서 제27조에 소비자계약의 국제재판관할 특칙과 준거법 특칙을 동시에 도입하였다. 그러나 특칙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원용한 판례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고 이론적인 연구도 여전히 필요하다. 특히 인터넷거래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국제소비자계약분쟁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직구의 대국인 한국은 자국 소비자의 합법적인 권익을 수호하기 위하여 특칙의 정치한 해석론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2022년 7월 5일부터 개정 국제사법의 시행을 앞두고 있는 현시점에서는 개정법의 변경사항까지 아울러 개정 전 국제사법이 남긴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개정 국제사법은 개정 전 국제사법 제27조를 분리하여 제42조와 제47조에 각각 소비자계약의 국제재판관할 특칙과 준거법 특칙을 두고 조항의 적용범위 및 일부 용어를 수정하였다. 본 논문은 소비자계약의 특칙인 위 두 조문의 문언을 중심으로 한국 국제사법상 소비자계약 특칙의 해석론을 전개하는바, 구체적인 논의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우선 개정법 제42조를 중심으로 소비자계약의 국제재판관할 특칙의 해석론을 탐구하고(Ⅱ), 다음으로 개정법 제47조를 중심으로 소비자계약의 준거법 특칙의 해석론을 탐구한 후(Ⅲ), 이어 양자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할 지에 대한 간단한 논의를 하고(Ⅳ), 마지막으로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개관함과 아울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과제와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Ⅴ).

    영어초록

    A consumer as a party to a contract should be specially protected because of some of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ignificant imbalance in terms of bargaining power between business operators and consumers, and the vulnerability of consumers. Such protection is often realized at the stage of determining international adjudicatory jurisdiction and governing law through the application of special provisions. It is named consumer protection under Private International Law. South Korea had introduced a special provision in Article 27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which was enacted in 2001. However, the cases which applied Article 27 are limited and theoretical studies are still needed.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international consumer contract disputes are on the ris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ransactions, South Korea, a large country with cross-border shopping, needs more research about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onsumer-protection provision in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to protect its consumers.
    As the Amended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hereinafter, “Amended Act”) is going to take effect from July 5, 2022,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tasks left by the current law in the context of the “Amended Act”. The Amended Act separates Article 27 of the old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and moved the jurisdiction rules of consumer contract to Article 42, conflict-of-law rules to Article 47 of the Amended Act, respectively. This paper discusses the interpretation of special rules of consumer contracts under the Amended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focusing on the text of Articles 42 and 47. The paper is discussed as follows. Section II explores the interpretation of the jurisdiction rules of a consumer contract. Section Ⅲ explores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flict-of-law rules of a consumer contract. Section Ⅳ analyze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jurisdiction rules and the conflict-of-law rules of a consumer contract. Section Ⅴ summarizes the overall discussion above and suggests topics that should be discussed deeper in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