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헌헌법 제4조 영토조항의 성립과 의미 (“Article 4 Territorial Clause” of the 1948 Constitution of Korea: Its Legislative Background and Mean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0.12
34P 미리보기
제헌헌법 제4조 영토조항의 성립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61권 / 4호 / 125 ~ 158페이지
    · 저자명 : 정인섭

    초록

    제헌헌법 제4조는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조항은 번호만 제3조로 바뀌었을 뿐, 현재도 동일한 내용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 글은 제헌헌법에 영토조항을 설치한 이유와 작성 당시 제기된 쟁점은 무엇이었고, 한반도와 부속도서는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을 의미했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영토조항을 설치한 가장 큰 이유는 남북분단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헌법의 적용범위가 기존 조선 고유의 영토 전체에 미친다는 의미를 표시하기 위한 의도였다. 영토조항은 오늘날까지도 대한민국이 규범적으로 남북한 전 지역을 대표하는 국가임을 표시하는 근거조항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반도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일제가 우리를 비하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한 용어이며 우리의 영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므로 삭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수락되지 않았다.
    제헌헌법은 부속도서를 예시하거나 이를 판단할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나, 당시 국제관계 속에서 다음과 같은 도서들이 한반도의 부속도서 여부로 주목을 받았다.
    ① 울릉도: 일본은 이 섬을 자국령으로 확보하려고 노력했으나, 미국이 울릉도의 한국 귀속을 지지했고, 대일평화조약도 울릉도가 한국령임을 확인했다.
    ② 독도: 일본은 이 섬을 자국령으로 확보하려고 노력했고, 미국은 대일평화조약에 독도의 한국령 명기를 거부했다. 일본은 독도가 자국령이라는 주장을 아직도 포기하지 않고 있다.
    ③ 파랑도: 한국은 대일평화조약에 파랑도를 자신의 부속도서로 명기해 줄 것을 미국에 요청했었다. 존재하지 않는 섬에 대한 영유권 주장은 한국 외교의 실수였다.
    ④ 대마도: 광복 후 한국은 대마도를 반환하라는 요구를 수년간 제기했으나, 미국은 대마도가 일본령이라는 입장을 확고히 갖고 있었다. 한국의 대마도 반환론은 실패했다.

    영어초록

    Article 4 of the R.O.K.’s First Constitution of 1948 said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consi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adjacent islan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its legislative background and detailed meaning. Though many other States did not have the territorial clause in their constitutions,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decided to insert this clause to make sure that Korean Constitution should apply to all Korea in spite of national division of North and South. As the Constitution did not name any adjacent islands or suggest any criteria for determining them, Ulreung Island, Dokdo, Parangdo and Tsushima drew political attention at this point during early years of Korean Government. Japan wanted to retain Ulreung Island as her territory, but Allied Powers, including the U.S., had firm position that it should belong to Korea. Korea asked Japan return Tsushima back, but the U.S. paid no heed to Korean claim. Korean Government tried to specify Parangdo as Korean territory i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but it was not real island at all. Though Dokdo has been under control of Korean Government, Japan continued to insist her territorial claim over Dok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