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동아일보 계열의 정세인식 변화와 배경 - 체제 비판에서 체제 굴종으로 - (Change in and Background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of Dong-A-Ilbo group in 1930s - From Criticism of Political System to Submission to Political System -)

7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2.12
71P 미리보기
1930년대 동아일보 계열의 정세인식 변화와 배경 - 체제 비판에서 체제 굴종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08호 / 191 ~ 261페이지
    · 저자명 : 윤덕영

    초록

    본 연구는 수정자본주의적 사상을 수용하여 내재화한 일제하 민족주의 정치세력이 1930년대 파시즘의 대두라는 전 세계적 시대 조류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대응하여 갔는가를 동아일보 계열의 정세인식과 대응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아일보는 1930년대 중반까지는 일제 지배체제에 대한 비판적 기조를 유지하였다. 1930년대 초반부터 일본 군국주의 대두에 대한 우려와 경계를 보이고 있었고, 그 배경으로 전 세계적으로 대두하고 있는 파시즘에 대한 분석을 지속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파시즘의 전 세계적 대두라는 조건 속에서 세계의 대세는 그 이전의 민족자결, 세계개조, 민주발전이라는 진보적 긍정적 변화에서 돌변하여 국가주의적 블록화, 독재화, 반동화로 나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고, 파시즘의 대두가 조선에서는 식민지 억압을 강화시키고 모든 민주적 권리를 말살해 가는 반동적 체제를 강화시킬 것이며, 이에 따라 조선에서의 민족자결, 민족자치, 민주적 권리의 신장이 기대할 수 없게 될 것을 우려했다. 동아일보 주도세력은 파시즘이 역사 발전에 역행하는 ‘반동사상’이며, 민중의 헌법적 권리행사를 유보시키는 ‘근대화한 전제주의’로서 ‘정치적 복고주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규정하면서, 민주주의적 가치를 옹호하였다.
    1936년 2․26사건을 계기로 통제파가 장악한 일본 군부가 정치일선으로 나오게 되었다. ‘사건 후 성립된 히로타 고키 내각은 사실상 군부에 의해 움직였다. 동아일보는 히로타 내각을 국방 내각이라고 규정하면서, 군비 증강을 통해 대륙 침략의 길로 가고 있다고 파악했다. 그들은 총독부의 극심해진 언론 검열 상황을 반영하여 완곡한 형태로 히로타 내각과 군부의 경제사회 정책을 비판하였다.
    동아일보는 이탈리아의 무솔리니 파시스트세력의 에티오피아 침공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통해 간접적인 형식을 빌어서 일본의 파시즘화를 비판하였다. 또한 유럽에서 반파시즘 인민전선 운동이 전개되자, 이를 적극적으로 알리기도 했다. 이는 그 이념이나 노선을 동의해서가 아니라, 세계적 차원의 파시즘의 대두와 일본의 군국주의 파시즘화는 조선의 독립 및 민주적 재편을 더욱 멀게 할 것이라는 정세 판단위에서, 파시즘과 군국주의 세력에 대항하는 반파시즘 인민전선을 성원하기 위한 전술적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그렇지만 1936년 손기정 일장기말소사건으로 동아일보가 10개월간의 무기정간에 처해지면서 태도가 변화하게 된다. 일제의 강력한 언론통제책에 굴복하여 일제와 타협하고 일제 정책을 지지 선전하는 논조로 변화하였다. 또한 1920∼30년대를 걸쳐 동아일보를 주도하던 송진우가 퇴진하면서 주도층에 변화가 있게 된다. 그렇지만 동아일보의 이런 모습은 일본파시즘 체제에 자발적 포섭되어 가는 민족운동 세력들의 체제 포섭과 규정의 모습이 아닌 굴종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더군다나 일제에 의해 동아일보의 강제폐간은 굴종의 길을 걷던 동아일보 세력이 민족운동 세력으로서 정치적으로 회생할 수 있는 명분을 만들어 주었다. 이런 사정이 해방직후 국내 민족주의 세력, 우파 세력 결집의 중심에 동아일보 계열이 있을 수 있는 역사적 배경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search how the nationalist political group which accepted and internalized revised modified capitalism under Japanese imperialism recognized and responded to the rise of fascism in 1930s, the global stream of the times, through Dong-A-Ilbo group recognition of and response to the situation.
    Dong-A-Ilbo maintained the critical keynote for the Japanese governance system until the mid-1930s.
    It expressed concern and caution about the rise of the Japanese militarism from the early 1930s, attributed the background of the militarism to fascism rising over the world and showed its attitude to criticize the nationalism and to champion democracy. It also aggressively publicized the anti-fascism popular front when this was raised in Europe in 1935.
    Dong-A-Ilbo followed the tactical decision to support the anti-fascism popular front that went against fascism and militarism on a global level because it judged that the rise of fascism over the world and the Japanese fascistic militarism would further keep the independence of Choseon and democratic rearrangement from happening rather than it agree the ideology or the political line.
    However, as it was suspended for an indefinite period for 10 months because of the incident of erasure of Japanese national flag of Son Ki-Cheong in 1936, Dong-A-Ilbo changed its attitude. Submitting to the strong policy of press control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t compromised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changed its tone of the press to supporting and propagandizing Japanese policies. Moreover, as Song Chin-woo, who took the lead in Dong-A-Ilbo in 1920s and 1930s, stepped down, its leaders group got to change. Although the nationalist groups were voluntarily won over to the Japanese fascistic system, Dong-A-Ilbo appeared to be submissive to the Japanese fascistic system rather than won over to or regulated by the Japanese system. However, Dong-A-Ilbo’s discontinuance forc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gave its groups, which were submissive to the Japanese fascistic system, justification to politically revive as a nationalist movement group. This situation wa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Dong-A-Ilbo group who were able to be at the center of the concentration of the domestic nationalist groups and the right wing groups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