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河世應 宗家 所藏 辨誣의 內容과 그 意義 - 鄭仁弘의 李滉 批判을 중심으로 -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Byeon-mu possessed by the head family of Ha Se-eung - focused on criticism of Jeong In-hong against Yi Hwang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4.12
38P 미리보기
河世應 宗家 所藏 辨誣의 內容과 그 意義 - 鄭仁弘의 李滉 批判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26호 / 103 ~ 140페이지
    · 저자명 : 이상필

    초록

    晉州市 水谷面 士谷 마을에 있는 河世應(1671-1727)의 종가에 소장된 『辨誣』라는 책자의 내용과 그 의의에 대해 논의를 한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같다.
    이 『변무』는 曺植의 학문이 儒學이 아니고 老莊이라는 李滉의 비판적 견해에 대해 鄭仁弘이 이를 세세히 分辨한 것과, 정인홍이 이 분변 과정에서이황을 무함했다고 하는 이황 지지자들의 견해에 대하여 정인홍의 지지자들이 반박하는 여러 글들로 이루어져 있다. 곧 정인홍은, 下學을 특히 강조하고 出處에 엄격하였던 조식을 이황이 노장으로 무함했다고 하며, 오히려 이황이 出處와 克己에 문제가 있으므로 문묘종사에 합당치 못하다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 이황의 지지자들이 정인홍을 두고 선현을 무함하였다고 비판하자, 정인홍의 지지자들은 정인홍이 先師의 무함을 분변한 것에 불과하다며이를 옹호한 것이다.
    조식은 이황에 비해 현실에 대한 관심이 더욱 많았고, 그래서 더욱 현실비판적이었으며, 출사를 하지 않은 것도 출처를 엄격히 하는 것이 유자의 가장 분명한 자세라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었으므로 조식이 노장의 학문을 唱導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不全進不全退하며 理氣心性論을 전개하는 것이 正學인가’라는 정인홍의 주장을 무함이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당시로부터 변화되어 조선말기에까지 이르는 학술사의 흐름을 생각해 볼 때, 그의 주장은 앞으로 좀 더 깊이 고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조선조의 성립과 함께 억불숭유 정책이 펼쳐지는데, 유학은 삼국시대 이래불교, 선교와 함께 이미 우리나라에 깊이 뿌리박혀 있던 것으로, 고려 중엽이래 주자학이 받아들여지면서 佛敎와 仙敎를 모두 배척하고 朱子學만을 숭상하는 쪽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조식의 儒學은 佛敎와 老莊도 일정 부분 인정하면서 유학적 삶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학문을 전개하였다. 그러나이황은 程朱 이래의 理氣論과 心性論을 합쳐 理氣互發說로 정리함으로써 주자학의 嫡子的 신분을 확보하였다.
    조식의 학문은 이기설과 같은 이론의 경우는 정주의 학설로 충분하다고보고 그들의 학문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여 현실에서 고도의 정신 경계에 이르면서 이를 실천하는 것이 학자의 자세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四端과 七情이 어떻게 구분되는가에 대한 이해보다는 현실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것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였던 것이다.
    이황의 조식 비판은 이황의 노수신 비판 등과 관련되는 것으로 일종의 학문적 독재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고, 정인홍이 인조반정으로 처형되는 것은정치와 맞물리면서 이러한 학문적 독재화가 정착되었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황 사후 조선이 망하기까지 일방적으로 朱熹만 尊信하는 학문이 이어졌고,그 사이에 陽明學이나 實學, 北學 등이 일부 학자 사이에서 반짝이기는 하였지만 정계나 학계의 주류가 되지는 못하였다.
    만약 남명의 학문이 정계와 학계의 주류 가운데 하나로서 기능하였다면조선이 그렇게 허무하게 일제에 의해 망하지 않았을 것이다.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아는 것을 실천하는 下學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고, 그 중요성의 이해를 통한 다양한 활동도 적극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심각한문제라는 것을 생각하면, 下學에 대한 관심과 處身 문제가 오늘의 현실에서도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A research has been made into the contents and their meanings ofa book which is entitled Byeon-mu and kept in the head family of HaSe-eung (1671-1727) located in Sa-gok village, Sugok-myeon, JinjuCit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book entitled Byeon-mu comprises detailed discussions wagedby Jeong In-hong about the critical contention of Yi Hwang that JoSik's scholarship was derived from Confucianism but the concept ofChan-Tzu and many confutations raised by Yi Hwang supporters thatJeong In-hong backbites Yi Hwang in the process of the discussionsbeing conducted. Jeong In-hong contended that Yi Hwang backbitJo Sik, who emphasized specifically Learning the lower and strictlycities sources, on the basis of the thoughts of Chan-Tzu, and that YiHwang had some problems with citing sources and self-restraint andwas not eligible for enshrinement of confucian scholars at theConfucius's Shrine. In response, Yi Hwang supporters also criticizedthat Jeong In-hong backbit an ancient great sage. In turn, JeongIn-hong supporters stood up for Jeong In-hong and said that he didno more than consider slanders waged against the ancient teacher.
    It is not true that Jo Sik advocated the scholarship of Chan-Tzusince he was more interested in the realities compared to Yi Hwangand more critical to the realities and because Confucian scholarsshould most strictly cite such sources as drawn from those figures thathad not gone into government service. They should not necessarilybackbite the contention raised by Jeong In-hong saying that it is nota right study to develop the doctrine of reason and energy whilemaking neither advance nor withdrawal, but his contention should bemore deeply considered against the developments of the history of artsand sciences occurring between that times in question and the earlypart of the Joseon Dynasty.
    Once th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policies were in place tosuppress Buddhism and promote Confucianism, which had been deeplypracticed in Korea along with Buddhism and Taoism ever since theThree-Dynasty period. Then, orthodox Neo-Confucianism wasintroduced into Korea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and beganto exclude both Buddhism and Taoism, so that people might respectorthodox Neo-Confucianism only. Confucianism supported by Jo Sikpartly recognized Confucianism and the doctrines of Chan-Tzu. Incontrast, Yi Hwang combined the doctrine of reason and energypromoted by Jeong Ju with the doctrine of mind and nature or thementality doctrine and created the doctrine on alternate occurrence ofreason and energy, so that he should be considered as a legitimatechild of orthodox Neo-Confucianism.
    Jo Sik considered that the doctrines of reason and energy could besufficiently represented by Jeong Ju's theory and contended thatscholars should be well versed in the doctrines and attain the highest mentality level in the realities while practicing the doctrines. He alsoconsidered that what is more important is how to interpret and beadapted to the realities than how to discriminate the human capacityfor ethics and natural emotion.
    Yi Hwang ’s criticism against Jo Sik is related to his criticism againstNo Su-shin and may be called a development of academic dictatorship,which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he political revolt for KingInjo's restoration, in which Jeong In-hong was executed. Reverencefor Ju Hui was one-sidedly practiced scholarship between the deathof Yi Hwang and the fall of the Joseon Dynasty, in which period thedoctrines of Wang Yang-ming and pragmatic Confucianism andnorthern Confucianism were temporarily propagated by some scholarswho were not active in the mainstream of academia.
    If the scholarship of Nam-myeong should occupy a part of themainstream of academia and politics, the Joseon Dynasty would nothave been subjected easily to the Japanese Imperialism. Even today,few people have interest in practical learning, understand theimportance of it and/or positively conduct various relevant activities.
    Considering this lack, what need be greatly promoted and developedtoday is people’s concern about and attitude towards learning thel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