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친 정토론의 정토사상과 유식불교의 상관성 연구 (The Correlation Study of Vasubandhu's Thought of Pure Land in Treatise on Pure Land and Yogācār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1.04
29P 미리보기
세친 정토론의 정토사상과 유식불교의 상관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1호 / 181 ~ 209페이지
    · 저자명 : 주명철

    초록

    본 논문은 전통적인 타방정토설과 대비할 수 있는 세친의 유심정토관을 살펴보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유심정토관은 정토를 타처에서 찾기 보다는 일심 안에서 찾고자 한 것으로서 정토와 유식의 만남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가능케 한다.
    그 첫 번째 시도로서 세친의 불국정토의 성립근거와 건립 원리를 살펴보면, 타방정토설을 보이는 『무량수경』이 법장보살의 願行이라고 하는 因의 청정에 중심을 두고 있는 반면, 세친은 극락정토라는 果의 청정에 비중을 두고 있는 점에서 그 스스로 유식불교적 소견을 보인 것이다. 세친이 자신의 『정토론』에서 29종의 정토 장엄을 내세우고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이러한 정토가 미망으로 오염된 중생을 구제하고자 건립된 것이라 할 때, 세친의 정토 장엄의 성취는 보살도의 완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29종의 장엄은 그 보살도의 완성, 10地의 완성인 대승의 깨달음 즉 네 가지 지혜의 구체적인 나타남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근거로 해서 유식불교의 전의에 의해 얻어진 네 가지 지혜(四智)와 『정토론』의 29종의 정토 장엄간의 관련성을 살펴 볼 수 있다. 이상의 검토 결과 세친의 정토장엄은 보살도의 완성, 깨달음의 성취라는 유심정토의 내용을 분명히 드러내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looking into Vasubandhu's thought of pure land[唯心淨土] of Yogācāra, which can be compared with traditional theory of pure land. His thought of pure land is trying to seek after pure land in one mind, not in other place, allowing us to mak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joining of Buddhism of pure land and Yogācāra.
    As a first attempt, making an observation of Vasubandhu's basis of realization and principles of formation on the pure land of Buddha, Sukhāvatīvyūha-sūtra places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purity of cause of praṇidhāna of Dhamākara(法藏) bodhisattva, while Vasubandhu mainly focuses on the purity of effect of pure land. In this regard, it is evident that he is on the side of Yogācāra. There is another proof of his point of view in the theory of pure land, consisting of 29 kinds of magnificence of pure land.
    He has especially suggested 29 kinds of magnificence of pure land and interpreted them as tathātā, and so forth. He has also considered pure land as a realm where all mankind can be saved from delusion and hardships.
    When it comes to the notion that the pure land is supposed to save ankind contaminated with delusion, the fulfillment of the magnificence of pure land means the completion of a religious truth of bodhisattva.
    Therefore, it is summarized that 29 kinds of magnificence of pure land be materialized in four knowledge such as the completion of a religious truth of bodhisattva and the enlightenment of mahāyāna as the attainment of ten bhumi. On the basis of this, we can look into the interrelation between four knowledge by Yogācāra and 29 kinds of theory of pure land.
    As a result, mahā-ādarśajñāna can be compared with 17 kinds of magnificence of pure land. 17 kinds of magnificence are the realization of mahā-ādarśajñāna as Buddha's knowledge. Next, 8 kinds of magnificence can be compared with samata-jñāna. Lastly, 4 kinds of magnificence of bodhisattva can be compared with pratyavekṣāna-jñāna and kṛtyānuṣṭhāna-jñāna consecutively. Mahāyāna bodhisattva is eager to carry out Buddha's teachings, while 4 kinds of magnificence of bodhisattva show the real aspect of right ascetic practices of Buddha.
    In conclusion of comparing four knowledge with the land of Buddha, the Buddha, and 29 kinds of magnificence of bodhisattva,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Vasubandhu's magnificence of pure land shows the contents of pure land of Yogācāra, the completion of a religious truth of bodhisattva and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