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以吾의 交遊 관계와 정치 활동 (A Study on Jeong Yi-o's Companionship and Political Activ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9.09
32P 미리보기
鄭以吾의 交遊 관계와 정치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인물사연구 / 12호 / 71 ~ 102페이지
    · 저자명 : 이정주

    초록

    이 논문은 정이오의 交遊 관계와 정치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밝힌 사실은 다음과 같다.
    정이오의 문집인 『郊隱集』을 통해 볼 때, 그가 접촉한 사람은 24인이었다. 그 수가 많지는 않지만, 정이오가 교유했던 인물들의 특징을 살펴보는데 큰 지장은 없었다. 정이오가 친밀하게 지냈던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 가운데, 주목할 만한 인물은 하륜과 조준이다. 하륜은 정이오와 동갑이었고 어려서부터 진주향교에서 같이 공부하였다. 두 사람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각종 책의 편찬을 같이 하였고, 공·사석에서 자주 접하였던 것으로 드러난다. 조준은 정이오와 같은 해에 과거에 합격하였고, 태조대 정이오의 후원자였다. 정이오는 조선 태조대와 태종대를 각각 대표하는 실력자였던, 조준과 하륜 모두와 상당히 가까운 사이였던 것이다.
    또 정이오와 가까웠던 인물들은 柳伯淳`柳伯濡와 그들의 父 柳方澤이었다. 이들 瑞山 柳氏家의 일원들은 모두 조선 건국에 대단히 부정적인 성향을 지녔던 인물들이었다. 정이오는 신왕조에 참여를 거부한 인물들과 친밀했던 것으로 보인다. 길재에게 경제적 지원을 했던 것도, 그가 고려에 충절을 지켰던 점을 높이 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이오의 관직 생활은 정종 2년(1400)을 기점으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정이오는 정종이 거느린 甲士를 三軍府로 넘기자는 주장을 하며, 이방원 세력에 합류했다. 정이오가 이방원과 연결될 수 있었던 데에는 하륜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하륜은 당시 관제 개혁과 사병 혁파를 총괄하고 있었다. 하륜 입장에서 정이오는 정종의 군사력 감축 같은 은밀한 사안을 같이 추진하기에 적합한 인물이었다. 하륜과 정이오는 고향, 학교, 나이와 정치적 성향이 같았기 때문이다.
    이방원의 집권에 협력하면서, 정이오는 출세의 길을 걷게 되었다. 정이오가 태종에게 도움을 준 것은 사병 혁파만이 아니었다. 태종은 자신의 집권 기간 내에 『태조실록』을 편찬하여, 왕자의 난과 관련한 불편한 진실을 숨기고, 집권의 정당성을 후대에 남기고자 했다.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소수의 제한된 인원만 『태조실록』 편찬에 참여할 수 있었다. 정이오는 많지 않은 인원을 거느리고, 『태조실록』 편찬을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었다. 그리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藝文館 大提學이 되었다. 정이오가 대제학이었던 기간은 8개월에 불과하였지만, 정이오는 이후 前大提學으로 불리우며 ‘一世의 名儒’ 혹은 ‘斯文의 宗匠’으로 계속 존경받을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has examined Jeong Yi-o’s companionship and political activities; thereby, it has discovered the following facts.
    According to his anthology, [Kyoeunjip (郊隱集)], he was in contact with 24 persons. Although the number of people is quite small, it was not difficult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Jeong’s companions with it. Among the figures regarded to have been close with Jeong, the ones that are noticeable include Ha Ryun and Jo Jun. Ha Ryun and Jeong Yi-o were of the same age, and they studied together from childhood at Hyanggyo in Jinju.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two compiled various kinds of books together even in Joseon Dynasty as well and often met at either formal or informal occasions. Jo Jun passed the Civil Examination in the year when Jeong Yi-o did so, too, and he was Jeong’s supporter during the period of Taejo(太祖). Jeong Yi-o was fairly intimate with both Jo Jun and Ha Ryun, the potentates representing the time of Taejo and Taejong in Joseon separately.
    Jeong Yi-o’s governmental life experienced dramatic change from the second year of Jeongjong (1400) as a turning point. Jeong joined the power of Lee Bang-won as insisting the transfer of the army commanded by Jeong Jong(定宗) to Samgunbu (三軍府). In the connection between Jeong Yi-o and Lee Bang-won, Ha Ryun played a critical role. Ha Ryun was then in charge of generalizing re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and innovation of soldiers. In Ha Ryun’s position, Jeong Yi-o was a suitable person with whom he could promote confidential plans like reducing military strength of Jeong Jong because Ha Ryun and Jeong Yi-o shared the same hometown, school, age, and political inclination as well.
    As he cooperated with the power of Lee Bang-won, Jeong Yi-o came to make his way in life. The aid Jeong provided to Taejong(太宗) was not just for the innovation of soldiers. Taejong compiled [Taejosilrok(太祖實錄)] during his seizure of power to hide the uncomfortable truth related to the Royal Prince’s War and transmit the fairness of his reign to future generations. So as to observe secrecy, a limited number of people could participate in the compilation of [Taejosilrok]. By heading the few persons, Jeong Yi-o completed the compilation successfully. After his service came to be recognized, he became Daejehak of Yemungwan.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only eight months that he worked as Daejehak, Jeong Yi-o has won respect continuously since then as a prominent Confucianist of the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인물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