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전기 改名牒과 조선시대 개명첩 양식의 변화 - 1582년(선조 15) 鄭雴(1554~1640) 改名牒을 중심으로 - (Gaemyeongcheop(改名牒)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Changes in Gaemyeongcheop Format across the Joseon Period -With a focus on the 1582(Seonjo year 15) Jeong Lip(鄭雴) (1554–1640) gaemyeongcheop-)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0.06
28P 미리보기
조선 전기 改名牒과 조선시대 개명첩 양식의 변화 - 1582년(선조 15) 鄭雴(1554~1640) 改名牒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6호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박철민

    초록

    이 글은 새로 발견된 조선전기 改名牒을 소개하고, 아울러 조선시대 개명 문서의 통시적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 개명 문서는 조선 전기에는 牒, 조선 후기에는 대개 帖으로 발급되었다. 조선전기 개명첩은 그간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옥천향토전시관에 1582년 발급된 鄭雴(1554~1640)의 改名牒이 소장되어있음이 확인되었다.
    해당 문서는 조선후기와 달리 목판에 문서 틀을 새겨 인출하고, 발급 시기나 이름 등을 붓으로 기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또, 문서에서 ‘知申事’와 같이 1433년(세종 15) 이후 사라진 용어가 나타나는 점과 1415년(태종 15) 관련 논의가 반영되어 있는 점을 보아 1433년 이전 문서의 양식이 정해진 뒤 현전 문서가 발급된 1582년까지 같은 양식의 개명첩이 발급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새로 발견된 조선시대 개명 문서 4점과 기존에 알려진 개명문서를 아울러 살펴보고, 시기별 양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에는 문서가 牒에서 帖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성이 보였으며, 18세기 무렵 양식이 정착되어 19세기까지 이어지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립의 개명첩은 현재 알려진 개명 문서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면서, 故牒式으로 된 문서 중 발급시기가 가장 늦으므로 현전 자료의 상․하한선을 넓혔다는 점과 제작 방식, 내용 등에서 가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newly uncovered gaemyeongcheop(改名牒, official note of name change)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n the diachronic changes of name change documents across the Joseon period. The name change documents of the Joseon period were usually issued as cheop(牒)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cheop(帖) in the late Joseon period. Although the gaemyeongcheop of the early Joseon period have been hitherto unknown,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presence of the gaemyeongcheop of Jeong Lip(1554–1640) at the Okcheon Rural Exhibition Hall, which was issued in 1582.
    Unlike document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his document was printed from woodblocks that were used to carve out the document template after which the time of issue and names were filled in using a brush. Furthermore, considering the fact that terms that disappeared after 1433(Sejong year 15), such as jishinsa(知申事, the name of a government post), appear in the document, and that the discussion pertaining to 1415(Taejong year 15) are reflected in the document, it seems the same format of gaemyeongcheop had been issued up to 1582 when the present document was issued after the document format had been determined prior to 1433.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four newly discovered name change documents from the Joseon period together with previously known name change documents and analyzes changes in format by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documents from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exhibit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wherein the documents change from cheop(牒) to cheop (帖), with the format becoming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and continuing on into the 19th century.
    The present document is material from the earliest period out of all known name change documents and the latest in terms of issue date out of all documents in the gocheop format(故牒式, an official document issued from a government agency to an individual), so it carries value with regard to its method of production, content, and for having extended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all documents transmitted to the presen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