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재 대피시설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의 접이식 비상대피시설 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f Fire Escape Facility - Focus on Design of Fold Out Fire Escape Installation for Apartment Housing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3.02
12P 미리보기
화재 대피시설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의 접이식 비상대피시설 디자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1호 / 87 ~ 98페이지
    · 저자명 : 성기선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동주택을 포함한 대형 건물에 화재 발생 시 입주민의 안전을 위해서 양방향 피난시설들이 설치되어 있으나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방범이나 사생활 침해 등을 이유로 불법 개조하여 실제 화재가 발생하면 무용지물이 되어버려 인명피해로 이어진다. 그러나 정부는 주택공급 부족을 이유로 고층 아파트나 초고층 아파트의 지속된 공급으로 더 큰 대형피해를가져올 수 있다. 실제 지난 2020년 소방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주택 화재발생 통계에 따르면 10년간 연평균 전체 화재 발생률은18%이며, 사망자 비율은 46%로 나타났다. 특히 아파트의 화재발생 건수는 1,20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인명피해는 전체 131건에서 25명이 사망했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화재 대피시설과 피난기구들을 분석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피난시설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 화재 대피시설의 이론적 고찰과 어떤 종류들의 대피시설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의 설치기준인 관련 법규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리고 아파트 화재 대피시설 인식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국토부 화재 대피시설로 인정된 대피공간 및 대피시설 제품을 탈출형과 체류형으로구분하여 조사하고,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위한 우선시되는 항목을 물리적 속성과 심리적 속성으로 구분해 물리적 속성에서는 제품의 경제성과 견고성, 심리적 속성에는 대피의 신속성과 안전성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으로 다섯 가지 기준 항목을 설정하고 강도 5점 척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탈출형 제품 네 개 모두에서 탈출 시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나타나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디자인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기존 체류형 대피공간과 탈출형 대피시설의 장점을 융합하여 외부와 접하고 있는 발코니 벽에 설치하며 방화문으로 열과 연기를 차단하게 하는 구조로 설계하고, 제품 크기는 피난구에 성인기준 4명이 자연스러운 자세로 서서 대기할 수 있는 크기인 1000(W)×1060(D)×2220(H)mm으로하였으며, 아래층이나 지면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새로운 접이식 실외 탈출형 대피시설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결론) 안전하고 신속한 탈출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선 각 세대 외벽에 설치한 철판 구조물로 인하여아래층으로 대피시 외부가 보이지 않도록 가림막 역할을 함으로써 대피자가 심리적 안정감으로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안전성을 높였으며, 다음으로 시각적 인지력이 떨어지는 노약자들을 위해 화재가 발생하는 위급한 상황에서 쉽게 알 수 있고 파악하기 쉬운 픽토그램을 적용시킴으로써 대피시 사용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접이식 실외형 대피시설은 신축건물뿐만 아니라 기존 공동주택에도 적용할 수 있어 활용성을 높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Research and purpose) Though most apartment housing has an evacuation facility in case of fire, they are not used properly and cause casualties sometimes, because of illegal remodeling for privacy and security. However, the government, citing a housing shortage, could cause even greater damage due to the continued supply of high rise apartments or super high rise apartments house. In fact, according to Korea's housing fire statistics released by the National Fire Agency in 2020, the average annual average fire occurrence rate was 18%, and the death rate was 46%. In particular, the number of fires in apartments was the highest at 1,201, of which 25 people died in 131 ca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existing fire evacuation facilities and evacuation equipment and proposes evacuation facilities for quick and stable evacuation in order to minimize casualties caused by fires. (Method) This study theoretically considers fire evacuation facilities in Korea, examines available types of evacuation facilities, and reviews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fire evacuation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were analyzed, and evacuation space and evacuation facility products recognized as fire evacuation facilities by MLTM were classified into escape types and stay types. Also, the priority items for rapid and safe evacu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tensity 5-point scale depending on 5 physic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economic feasibility and robustness of the products for physical attributes and speed, the safety of evacuation, and ease of use for psychological attributes. (Resul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four escape-type products seem to arouse psychological anxiety when escaping, which means design that give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leads to quick evacuation is a critical factor. Therefore, the product was designed with a structure that blocks heat and smoke through a fire door by installing it on a wall facing the outside,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stay-type evacuation space and the escape-type evacuation facility. Especially, a new foldable outdoor escape facility design was proposed for safe and quick evacuation to the ground floor. (Conclusion) As a way to minimize casualties through rapid and safe escape routes, the steel plate structure installed on the outer walls of each block first serves as a cover to hide the outside when evacuating downstairs, thereby enhancing safety for evacuees to escape quickly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Next, for the elderly and the weak with poor visual perception, a pictogram that is easy to grasp in an emergency can be applied to increase the speed of use during evacuation. Finally, this folding outdoor evacuation facility can be applied not only to new buildings but also to existing apartments to increase its ut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