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국 경험주의 취미론의 최종점: 흄과 버크의 취미 이해 (The Culmination of British Taste Theories: Taste Theories of Hume and Burk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영국 경험주의 취미론의 최종점: 흄과 버크의 취미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8권 / 4호 / 447 ~ 486페이지
    · 저자명 : 최도빈

    초록

    본고는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과 에드먼드 버크 (Edmund Burke, 1729-1797)의 취미 논의를 비교 고찰하여, 양자의 대조적인 논의가 영국 경험주의 취미론이 발전 가능한 최종점을 시사함을 보이고자 한다. 흄과 버크 모두 미적 경험 및 취미 판단에 대한 개별 현상을 관찰하여 일반 원리를 도출하는 경험주의 방법론을 취하지만, 두 철학자의 탐구 목표는 정반대에 가깝다. 흄은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1757)”에서 미적 대상 지각 이후 발생하는 정감의 주관적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다양한 정감의 조율을 위해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취미의 기준’을 찾고자 한다. 반면 버크는 “취미에 관한 서설(1759)”에서 사람들의 취미는 겉보기에 다양해 보여도 같은 신체적 감각에서 시작되었기에 자연적으로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미적 대상의 지각과 그로부터 발생한 정감에 근거한 취미 판단 과정을 상기하면, 흄은 그 과정의 ‘최종 결과’인 개인 정감에 중심을 두고 ‘취미의 다양성’ 현상을 인정하였다면, 버크는 ‘최초 원인’인 신체 감각에 초점을 맞추어 ‘취미의 동일성’을 주장한 것이다. 취미 판단 과정의 종점과 시점에 근거하여 취미 현상을 고찰한 흄과 버크와 더불어, 과정 중간에 작용하는 취미 능력 규명에 초점을 맞춘 전통적 경험주의 취미론을 함께 고려하면, 영국 경험주의자들은 취미 판단 과정의 모든 주요 단계를 관찰 지점으로 삼아 취미를 탐구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흄과 버크의 취미 이해 이후 새로운 관찰 지점을 찾기 어렵다면, 이들의 대조적 논의가 취미에 대한 경험적 탐구의 최종점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essay, I examine David Hume’s (1711-1776) and Edmund Burke’s (1729-1797) discourses on taste to argue that their contrasting standpoints on taste suggest the culminating point of the British Empiricist discussions about taste. Both philosophers similarly take the empirical method that abstracts the general principles of taste by observing the particular phenomena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taste judgments but the goals of their inquiries are almost opposite to each other. In “Of the Standard of Taste (1757),” Hume seeks to propose a practical standard of taste that could save us from acquiescing a skeptical view on taste that endorses “the natural equality of tastes” while admitting the variety of subjective taste. In contrast, Burke’s “On Taste (1759)” argues for “the uniformity of taste” by pointing out the same substratum of our physical senses under subjective tastes that might appear variable. The process of making taste judgments, which consists of causal relation, sheds different light on this contrast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approaches to taste. While Hume focuses on taste sentiments, the final effect of this process, to admit the variety of individual tastes, Burke relies on the first cause of physical senses to advocate the uniformity of taste. This process also lets us understand the preceding taste theories as figuring out the faculty of taste, located in the middle of that process. This overview demonstrates that the British empiricists have taken the most important stages in the process of taste judgments as their theoretical cornerstones. If so, because there would be no more central points to examine taste phenomena, we can assume that no further significant development is available in their attempt to explicate tas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美學(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