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 타문화중심주의와 탈동일시성향이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 외국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면세점 경영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sumer Xenocentrism and Disidentification on the Evaluation of Relatively High-status Foreign Product - Focusing on the Implication for Duty-Free Shop Management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1.12
22P 미리보기
소비자 타문화중심주의와 탈동일시성향이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 외국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면세점 경영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항공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 19권 / 6호 / 3 ~ 24페이지
    · 저자명 : 김동태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 특정 국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체계정당화 이론에 근거한 소비자 타문화중심주의와 사회정체성 관점에서 접근한 소비자 탈동일시 성향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소비자 타문화중심주의와 소비자 탈동일시 성향이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국가의 제품 평가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각각의 영향이 해당 외국에 대한 소비자친밀감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가설 1에서는 소비자 타문화중심주의 성향이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 국가의 제품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가설 2에서는 소비자탈동일시 성향이 해당 외국 제품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가설 3, 가설 4는 각각 가설 1과 가설 2에서 추정한 영향 관계가 해당 외국에 대한 소비자 친밀감에 의해 달라진다는 조절효과를 추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는 국내 소비자 300명으로부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대상 외국으로는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적 지위가 높다고 인식되는 일본을 선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 타문화중심주의 성향은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 외국의 제품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가설 1 지지), 소비자탈동일시 성향은 해당 외국의 제품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가설 2 지지). 조절효과검증은 카이제곱값 차이검증을 통해 실시하였다. 먼저 가설 1에 대한 국가 친밀감의 조절효과 가설인가설 3의 검증에서는 해당 외국에 대한 소비자 친밀감이 강할수록 해당 국가의 제품평가에 미치는 소비자 타문화중심주의 성향의 영향이 더 큼을 확인하였다(가설 3 지지). 반면 가설 2에 대한 국가 친밀감의 조절효과 가설인 가설 4의 검증에서는 소비자 탈동일시 성향이 해당 외국의 제품 평가에 미치는영향력이 소비자 친밀감에 따라 달라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가설 4 기각).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의의는 기존 연구들이 외국제품 평가의 주요 선행요인으로 사회정체성 이론에 근거한 자민족중심주의의 영향을 살펴본 것과 달리 체계 정당화 이론의 관점에서 타문화중심주의의 영향을 살펴보고 유의한영향을 확인한데 있다. 또한 사회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자국제품에 대한 자민족중심주의의 영향을분석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소비자 탈동일시의 영향을 자국제품이 아닌 외국제품을 대상으로 확인함으로써, 특히 외국제품 평가에 대한 자민족중심주의 연구들의 설명을 보완했다는 의미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외국제품에 대한 구매수요와 판매 가능성이 높은 공항 면세점에서 출시제품 기획 등 머천다이징이나 포지셔닝, 외국계 면세점과의 경쟁, 해외시장 출점전략 등을 수립할 때 해당 시장의 타문화중심주의와 탈동일시 성향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성을 확인한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가 가진한계로는 소비자 타문화중심주의와 탈동일시 성향이 발생하는 대상의 범주를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국가로 제한했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가뿐 아니라 민족, 세대, 사회적 지위, 성별 등 다양한하위문화로 확대하여 해당 집단별 타문화중심주의 및 탈동일시 성향의 존재나 정도를 파악하고 각 집단에서의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구체적 영향을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unilateral preference for products from a specific country, this study focused on the theory of system justification and tried to examine how consumer xenocentrism affects the evaluation of foreign products.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versity of consumer desires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on foreign product evaluation, we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nsumer disidentification on foreign product evaluation by approaching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identity. For this purpose, the positive effects of each of these two constructs on the evaluation of foreign products were set as 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Next, Hypothesis 3 and Hypothesis 4 predicted the moderating effect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estimated in 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was different depending on consumer affinity with the country. Finally, the positive effect of foreign product evaluation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was set as Hypothesis 5.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300 domestic consumers, and Japan was selected as the target foreign country. Hypothesis verification shows that consumer xenocentris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products produced in foreign country with high relative status (Hypothesis 1 Supported). We have identified that consumer disidentific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products produced in foreign country with high relative status (Hypothesis 2 Supported). In the moderating effec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onger the consumer’s affinity with the foreign country,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consumer xenocentrism on product evaluation in that country (hypothesis 3 Suppor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consumers’ disidentification tendency(Hypothesis 4 Rejected). Finally, the assessment of a foreign product also identified a positive impact on the purchasing intent of the product (hypothesis 5 Supporte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research on consumer xenocentrism which has rarely been addressed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There is also a contribution to confirming the role of modern consumer desire diversity, which lacked interest in consumer ethnocentrism research related to evaluation of foreign products, through consumer disidentification.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at xenocentrism and disidentification tendency of the relevant marke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product planning and positioning of duty-free shops, competition with foreign duty-free shops, and overseas market opening strategies are established. A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limited the categories of subjects with consumer xenocentrism and disidentification tendencies to countries with relatively high status.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r degree of cconsumer xenocentrism and disidentification tendency for each group by expanding it to various sub-cultures such as ethnicity, generation, social status, and gender as well as countr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specific effects of these tendencies on consumer behavior in each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