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22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 ‘評價’의主眼點 및 特徵 (Key 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22 revisedClassic Chinese Subject curriculum evalu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3.06
26P 미리보기
2022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 ‘評價’의主眼點 및 特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60호 / 151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왕규, 김은경

    초록

    이 연구는 2025년 適用을 앞둔 2022 한문과 敎育課程 評價의 方向과 內容을 살펴봄으로써 改定 敎育課程에 대한 現場의 理解를 돕는 데 목적이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평가’의 가장 큰 변화는 ‘敎育課程 文書 體制의 變化’에서 비롯된 ‘평가의 方向 및 方法의 統合’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 영역별 반복적으로 제시되던 ‘評價 方法 및 留意 事項’이, ‘평가의 方向과 方法’을 연결 제시할 수 있도록 獨立章으로 통합되었다. 이는 과목의 특성에 맞는 평가의 방향과 방법을 연결하여 簡明하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본고는 한문과 교육과정 ‘평가’의 주요 내용을 기술하되, 특히 한문과 평가 모형과 평가 사례를 소개, 설명하였다. 시기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평가 내용의 出入에 관계없이, 평가 모형은 上位 층위에서 평가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평가 사례는 현장의 한문 교사의 평가 수행을 돕는다는 점에서 注目할 필요가 있다.
    [한문과 평가 모형]에서 한문과 평가의 본질과 목적을 한문 학습자의 漢文 學習 過程과 成就 程度에 대한 理解, 分析, 判斷, 그리고 綜合에 두었다. 성취 결과의 記錄, 等級化라는 機能的 觀點이 아니라 한문 학습자의 한문 학습 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 분석과 판단, 그리고 종합이라는 總體的 觀點을 강조했다. 한편, 한문과 평가는 일차적으로 평가 대상인 한문 학습자에 注目하지만, 평가의 주체인 한문 교사를 重視한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곧 한문과 평가는 한문 교사의 ‘평가 과정, 평가 방법, 평가 도구의 點檢 및 改善’과 ‘교수ㆍ학습 방법 및 자료의 點檢과 改善’에 목적을 두는데, 전자는 평가의 자체 還流를, 후자는 평가의 교수ㆍ학습 방법에의 還流임을 강조했다.
    [평가 사례]로는 ‘학습자 스스로 성어의 유래와 겉뜻ㆍ속뜻을 조사하여 발표하는 프로젝트 수업’의 일환으로 ‘敎學相長 프로젝트, 成語로 선생님 되기’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학습자가 ‘직접 가르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의 학습 과정을 省察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수업 전체 과정을 수행평가로 연결하여 過程 中心의 評價를 具現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the field understand the revised curriculum by examining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2022 Classic Chinese Subject Curriculum Evaluation, which is about to be implemented in 2025. The biggest change in the evalu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the ‘integration of the direction and method of evaluation’ stemming from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document system’. In the 2015 curriculum, ‘evaluation methods and considerations’, which were repeatedly presented for each area, were integrated into an independent chapter to connect and present ‘evaluation directions and methods’. This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simply presente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evalu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n this study, [Classic Chinese Subject evaluation model] and [evaluation case] were proposed.
    In the [Classic Chinese Subject evaluation model], the nature and purpose of Classic Chinese Subject Assessment was put into the understanding, analysis, judgment, and synthesis of the Chinese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achievement level of Classic Chinese Subject learners. It emphasized the holistic perspective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analysis, judgment, and synthesis of the Classic Chinese Subject learner's Classic Chinese Subject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the functional perspective of recording and grading of achievement results. On the other hand, while the evaluation of Classic Chinese Subject primarily focuses on Classic Chinese Subject learners, who are the subject of evaluation, it is also emphasized that Classic Chinese Subject teachers, who are the subject of evaluation, are important. In other words, Classic Chinese Subject evaluation aims to 'inspection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tools' and 'inspection and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of Classic Chinese Subject teachers. emphasized that evaluation is a feedback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for the [evaluation case], as part of a ‘project class in which learners investigate and present the origin, surface and inner meaning of Ancient Phrases themselves’, ‘Teach, learn and grow with one another project, becoming a teacher in Ancient Phrases’ was proposed. This aims to enable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own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direct teaching process' and connects the entire class process to performance evaluation to implement process-oriented eval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