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ESG 공시에 관한 외국의 제도개선 동향과 시사점 (Trends and Implications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Foreign Countries regarding ESG Disclosu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3.08
32P 미리보기
ESG 공시에 관한 외국의 제도개선 동향과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30권 / 3호 / 109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지웅

    초록

    최근 ESG 공시 관련 해외 논의는 도입 필요성 차원을 넘어서 ➀어떤 매체를 통하여 공시할 것인가, ➁어떠한 기준에 따라 무엇을 공시할 것인지, ➂공시 내용의 정확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 등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EU의 경우 기존의 ‘비재무정보 공개지침(NFRD)’를 개정한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을 발표한 바 있으며, 해당 지침은 2023년 1월부터 효력이 발생하였다. 개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시대상을 기존 EU 역내의 대형 상장·금융 기업에서, EU 비상장 대기업, 상장 중소기업 및 EU에 자회사를 두고 있거나 EU 시장에 상장된 非EU기업에까지 확대하였다. 또한 공시기준과 관련, 종전 NFRD는 회원국이 국제기구에서 발표한 표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규정한 것과 달리, CSRD에서는 유럽지속가능성보고표준에 따라서 공시하도록 하였다. 공시원칙과 관련, CSRD는 종전 NFRD에서 규정하고 있던 ‘Comply or Explain’ 원칙을 삭제하고, 요구사항을 반드시 준수하도록 하였다. 공시방법(매체)과 관련하여, NFRD는 사업보고서 또는 별도의 보고서 중 하나로 공시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CSRD는 기존 사업보고서에 포함시켜 공시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제3자 검증과 관련, NFRD는 제3자 검증 여부를 회원국에 자율로 위임한 반면, CSRD는 회원국이 제3자 검증을 의무화 하도록 명시하였다.
    미국 SEC는 2022년 상장기업 중 대기업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기후 관련 정보 공시를 의무화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이 방안이 규정화되면 기업들이 해당 정보에 관해 불성실 공시를 할 경우 기존 공시 관련 처벌 규정 등이 적용된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ESG 관련 비재무정보가 증권시장에 얼마나 큰 영향을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발리社와 관련한 판례를 소개하였다.
    영국은 회사법을 중심으로 ESG 공시의무를 규정하고, 상장회사의 경우 거래소에서 운영중인 상장규정을 통하여 기후 관련 공시의무를 추가하였다. 일본의 경우 ESG 관련 비재무정보를 공시하는 매체에 관하여는 법이나 부령 등의 형식으로 하나로 정해진 것은 없는 상황이고, 법정 공시나 증권거래소규칙에 따른 서류 등에 흩어져 공시되고 있다.
    해외 주요국의 제도개선 노력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몇 가지 도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주요국에서는 별도의 매체로 ESG 관련 정보를 공시하는 것 대신 기존 재무정보가 공시되던 법정공시 방법을 통해서 ESG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는 추세에 있다. 법정공시를 통한 ESG 공시의무 부과는 단순히 투자자에게 편의성을 주는 것을 넘어 기존 법령에서 규정한 허위 공시에 대한 처벌, 손해배상 등 투자자 보호수단이 적용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로, 해외 주요국은 공시에 담긴 정보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제3자 검증을 강화하는 추세에 있다. EU의 경우 CSRD에서 제3자 검증을 의무화하도록 하였으며, 미국 SEC의 경우에도 제한적이기는 하나 기후 공시 의무화를 위한 개정안에서 배출가스와 관련한 일부 공시사항에 대해서는 제3자로부터 검증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셋째, 해외 주요국의 경우 금융당국이 중심이 되어 ESG 공시와 관련한 제도개선을 해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SEC, EU의 경우 유럽집행위원회 내 금융안전, 금융서비스 및 자본시장총국이 지침 작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 FCA에서 ESG 관련 상장규정 모범규준 개정 등을 주도하고 있다. 이는 ESG의 형성과 확산에 금융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ESG에 부합하는 투자결정 등을 위해서는 ESG 관련 비재무정보 제공이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ESG disclosures have transcended the realm of necessity for implementation and appear to be focused on aspects beyond that, such as ➀ determining the appropriate channels for disclosure, ➁ defining the criteria for what should be disclosed, and ➂ ensuring the accuracy of disclosed content.
    In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 the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Guidelines (CSRD)’, which modified the existing ‘Non-Financial Reporting Directive (NFRD)’, have been introduced, and the guidelines became effective in January 2023. The updated provisions are outlined as follows.
    Initially, the scope of entities subject to disclosure was broadened, encompassing not only prominent listed and financial firms within the EU but also extending to include unlisted conglomerates within the EU, list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non-EU companies having subsidiaries within the EU or being listed on EU markets. Furthermore, concerning the standards for disclosure, in contrast to the prior NFRD that mandated member nations to opt for one among the standards put forth by global organizations, the CSRD mandates adherence to the 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As for the principle of disclosure, the CSRD eliminated the ‘Comply or Explain’ principle that was previously outlined in the NFRD, instead emphasizing strict compliance with the stipulated requirements.
    Regarding the approach to disclosure, while the NFRD allowed the option of disclosure through either the business report or other types of report, the CSRD mandated inclusion of the disclosure within the existing business report. Moreover, concerning third-party validation, the NFRD allowed member nations to opt for voluntary third-party validation, whereas the CSRD mandated that member nations establish compulsory third-party validation.
    The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has put forth a phased proposal to enforce obligatory disclosure of climate-related information, commencing with large listed corporations in 2022. Should this proposal become regulatory, existing penalties for inaccurate information disclosure would be applicable if companies provide misleading information. Additionally, this article presents a case involving Vale Company, illustrating the notable impact that non-financial ESG-related information can exert on the stock market.
    In the UK, ESG disclosure requirements revolve around the Company Law, and for listed companies, obligations pertaining to climate-related disclosures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stock exchange-operated listing regulations.
    Contrastingly, in Japan, there is no formalized regulation, such as laws or ordinances, that specifies a single medium for disclosing non-financial ESG-related information. Instead, such information is disseminated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legal disclosures and documents in accordance with securities exchange regulations.
    Several potential implications of the system enhancement initiatives pursued by significant foreign nations for South Korea include the following:
    First, a prevalent pattern observed in significant foreign nations involves integrating ESG-related information disclosure within the existing framework of statutory disclosure, previously used for financial information, rather than employing a distinct avenue for ESG disclosures. This approach of incorporating ESG disclosure mandates within statutory requirements brings the benefit of encompassing investor safeguard mechanisms, including penalties and restitution for misleading disclosures, going beyond mere convenience for investors.
    Furthermore, in these major broad countries, there is a notable inclination to enhance the role of third-party verification in order to ensure the precision of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disclosures. In the European Union, the CSRD has instituted mandatory third-party verification, while in the United States, the SEC has introduced limited but essential amendments for compulsory climate disclosure, requiring third-party verification for certain emissions-related disclosures.
    Third, in the case of key overseas countries, financial authorities are taking the lead in improving systems related to ESG disclosure. In the United States, the SEC and, in the European Union, the European Commission, the Directorate General for Financial Safety, Financial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within the European Commission, take pivotal roles in shaping guidelines. Likewise, in the United Kingdom, the FCA leads the effort to revise best practices for ESG-related listing regulations.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significant role that finance plays in shaping and disseminating ESG practices, and the provision of non-financial ESG-related information holds paramount importance for making investment choices in alignment with ESG criter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