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 시대의 부모되기: 생태주의적 해석의 시사점 (Becoming a Parent in Contemporary Times: Implications of Ecological Interpret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2.12
21P 미리보기
현 시대의 부모되기: 생태주의적 해석의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4권 / 4호 / 225 ~ 245페이지
    · 저자명 : 임광국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 시대의 가족 위기 현상, 그리고 ‘부모 됨’의 기피라는 사회적 난제를 생태주의적 관점으로 해석하였으며, 주요한 논점은 사회생태론의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 사회의 ‘생태적 유기성’을 해치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어떠한 방향성을 견지해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부모 됨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기피현상, 그리고 이에 말미암은 가족의 위기와 저출산 현상은 우리사회의 유기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위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사회생태론의 관점에서 이러한 위기를 조장하는 것은 인간의 인간에 대한 지배구조로 제시되는데, 전통적 의미의 가족제도는 남성의 여성에 대한 지배, 더 나아가 사회의 여성에 대한 착취구조에 기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여성의 덕목, 모성애와 같은 신념체계를 통해 정당화 되어왔다. 그리고 전통적 가족을 해체하며 등장한 근대의 가족제도 역시 산업자본의 요구에 맞는 노동력의 재생산을 위한 장치로서 여성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여성해방과 양성평등이 제도적으로 확립된 오늘날에도 여전히 통용되며 여성들을 암묵적으로 억압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이는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가족의 위기’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이다. 또한 전통적인 의무와 당위성에서 벗어나 개인의 감정과 욕구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현대의 가족은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역시 변화시켜, 교육열과 과잉보호로 대표되는 급진적인 심리화 경향으로 이끌게 된다. 이러한 급진적 심리화 경향은 부모 됨과 자녀 양육에 대하여 선택과 집중, 혹은 단념을 초래함으로 가족의 위기에 대한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 가족의 생태적 유기성을 회복하는 생태주의적 해석의 시사점은 오늘날 아직도 남아있는 임신, 출산, 자녀양육과 관련한 암묵적 여성 착취구조를 제거하고, 자녀의 양육을 온전히 부모의 부담으로 간주하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또한 부모와 자녀 관계의 급진적 심리화 경향을 감안하여 자녀양육의 장기 지속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사회적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rprets today’s family crisis and the problem of avoiding becoming a parent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Specific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ecology, this study answers the questions: What is the cause of harming the ecological organicity of our society? What can we do to overcome this? The family crisis and low fertility problems that discourage people from becoming parents are the same as the crisis of organicity and sustainability in our society. From a social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cause of a social crisis is the structure in which humans dominate others.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is based on men's domination of women, and furthermore, on the structure of society's exploitation of women. This structure of domination and exploitation has been justified through beliefs such as female virtue and maternal love. The modern family, which emerged as a result of dismantling the traditional family, was also designed to oppress and exploit women to reproduce the labor force required by industrial capital. This still works even today, when women's liberation and gender equality ar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nd is allegedly the cause of the current “family crisis.” Today's families, built on the basis of individual emotions away from traditional obligations, have transfo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to a “radical psychologicalization.” Radical psychologicalization is another cause of family crisis that makes it difficult to become a parent and raise children. To overcome this and restore the ecological organicity of the family, the structure that exploits women for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must be eliminated. We also need to stop thinking that raising children is a burden only for parents. In addition, huge social support is needed to ensure the long-term stability of child rear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