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쇼핑 경험가치 지각과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hopping Values, Brand Equity, and Store Loyalt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 Case of Large Discount Sto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2.07
29P 미리보기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쇼핑 경험가치 지각과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마케팅저널 / 14권 / 2호 / 209 ~ 237페이지
    · 저자명 : 황순호, 오종철, 윤성준

    초록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가격, 제품의 품질 등 실용적 가치 보다 쇼핑의 즐거움, 라이프스타일의 구현, 매력적인 점포쇼핑환경, 브랜드 애착심 등의 정서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단순히 상품만을 구매하기보다는 다양한 가치를 얻기 위해 쇼핑을 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 제안되었다(안광호와 이하늘 2011; Mathwick 등 2001). 이렇듯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차원의 쇼핑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황순호 2010).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의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연구의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소비자행동분야에서 소비자 경험이 중시되면서 소매점내 쇼핑경험가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할인점 소매점포에서 고객들이 지각하는 쇼핑 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점포 충성도와의 관계를 찾아내어 소매점의 쇼핑 경험가치와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내기 위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쇼핑가치와 유통브랜드 자산, 그리고 점포 충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도시 (서울 과 북경) 소비자들을 표본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중간 소비성향 차이 비교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소비성향차이를 검정한 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과 상징적 소비성향의 평균값이 한국 소비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소비자들은 쾌락적 소비성향이 중국소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할인점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자산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 중국에 비해 한국 소비자들이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모두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편의점과 할인점 이용 고객들이 지각하는 소매점에서의 쇼핑경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각각의 국가에 따라 각기 다른 쇼핑경험가치가 나타났다. 한국의 할인점에서는 소비자이익 가치, 심미성가치, 유희성 가치가 중요한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국의 할인점에서는 유희성 가치, 심미성 가치, 소비자이익 가치, 서비스우수 가치가 중요한 쇼핑경험가치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소비자들의 쇼핑경험가치과 브랜드자산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형할인점에 있어서 경험가치의 이론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주며 충성도 제고에 있어서 브랜드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유통의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대형할인점의 국제화에 요구되는 한국과 중국 간의 고객 가치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즉, 해외유통전략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쇼핑가치에 기반한 현지화 전략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주며 국가차원에서의 차별적 유통전략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여 준다.

    영어초록

    1. Research Purpose

    Consumers rely on various clues to evaluate their decision to patronize a retail store, and store brand is one of them (Dodds 1991; Grewal et al. 1998). As consumers find ever increasing variety of contact points connecting them to specific store, the value of experiential shopping as a means of increasing store’s brand equity warrants greater attention from scholars of retail management. Retail shopping values are credited for creating not only cognitive experiences like brand knowledge but also emotional experiences such as shopping pleasure and pride (Schmitt 1999). This may be because today’s consumers place emphasis on emotional values associated with shopping pleasure, lifestyle brought to life, brand relationship, and store atmosphere more than utilitarian values such as product quality and price. Many previous literature found this to be true (Ahn and Lee 2011; Mathwick et al. 2001). This brings forth important research issues and questions regarding the roles of shopping experiential values and brand equity with regard to consumer’s retail patronage choice. However, despite this importance, research on this area remains quite inadequate (Hwang 2010).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tial shopping values, retail store brand equity and tries to link that with customer loyalty by surveying large-scale discount store shoppers in Korea and China.




    *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san University(hshphj1003@naver.com)**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san University(drpeter@ansan.ac.kr)***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sjyoon@kgu.ac.kr)



    2. Research Contents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comprehensive literature survey on previous literature by discussing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with regard to shopping values and retail brand equity and store loyalty. For data collection, researcher employed survey-based research method where data were collected in two major cities of Korea (Seoul) and China (Bejing) and sampling frame was based on patrons of large discount stores in both countri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rai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RQ1:How do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differently perceive of shopping values regarding shopping at large-sclae discount stores?RQ2:Are there differences in consumers’ emotional consumption propensities?RQ3:Do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display different perceptions of brand equity towards large-scale discount stores?RQ4:Are there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shopping values and brand equity for Korean and Chinese consumers?For statistical analysis, SPSS17.0, AMOS17.0 and SmartPLS were employed.


    3. Research Results

    The data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survey conducted in Seoul and Bejing revealed appropriate data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result of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s, andh SEM model yielding satisfactory model fitness. The result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by three main point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differences in consumption dispositions, Chinese consumers showed higher scores in aesthetic and symbolic dispositions, whereas Korean consumers scored higher in hedonic disposition. Second, testing on perceptions toward brand equity of large discount stores showed that Korean consumers exhibite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than Chinese counterparts. Third,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experiential shopping values revealed different factors for each country. On Korean side, consumer interest value, aesthetic value, and hedonic value were prominent, whereas on Chinese side, hedonic value, aesthetic value, consumer interest value, and service excellence value were found salient.
    4. Research Implications

    While many previous studies on inter-country differences in retailing area mainly focused on cultural dispositions or orientations to explain the differences, this study sets itself apart by specifically targeting individual consumer’s shopping values from an experiential viewpoint. The study result provides important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large-scale discount store, especially the impotance of fully exploring the linkage between shopping values and brand equity, which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loyalty. Therefore, the specific implications deriving from the result shed some important insights upon the consumption values based on shopping experiences and brand equity.
    The differences found in store shopp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may also provide useful insights for Korean and Chinese retailers who plan to expand their operations globally.
    Related strategic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is the importance of localizing retail strategy which is based on the differences found in experiential shopping values between the two country groups. Especially the finding that Chinese consumers value consumer interest and service excellence, whereas Koreans place importance on hedonic or aesthetic values indicates the need to differentiate the consumer’s psychographical profiles when it comes to expanding retail operations globally. Particularly important will be to pursue price-orienated strategy in China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emphasis on consumer interests and service excellence, but to emphasize the symbolic aspects of brand equity in Korea by maximizing the brand equity associated with aesthetic values and hedonic orientations.


    5. Recommendations

    This study focused on generic retail branded discount stores in both countries, thus making it difficult to tease out store-specific strategies based on specific retail brands. Future studies may benefit fro employing actual brand names in survey questionnaire to verify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values and brand-based store strategy.
    As with other studies of this nature, this study needs to strengthen the result’s generalizability by selecting respondents from a wider spectrum of respondents.


    Key words: experiential shopping values, retail brand equity, store loyalty, discount store, Korea-China comparison study, consumption dis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마케팅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