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일본의 혼혈 담론-GHQ 점령기를 중심으로 (Mixed-Race Discourse at the Time of GHQ Occupation in Jap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8.09
33P 미리보기
전후 일본의 혼혈 담론-GHQ 점령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03호 / 235 ~ 267페이지
    · 저자명 : 박이진

    초록

    본고는 ‘대동아공영권’ 주창과 함께 불거졌던 일본의 혼혈론이 패전 이후 GHQ 점령기로 이어지면서 갖는 연속과 비연속적 인식의 층위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일본인종론에 작용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이 갖는 특징을 심층적으로 살필 수 있었고, 이는 향후 현대 일본의 인종주의적 시각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기초 토대로 활용할 것이다.

    1940년대에 일본인종론이 국내적으로 우생학의 교양화로, 국외적으로는 ‘대동아공영권’의 주창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혼혈론이 논리적 근거로 활용된다. 생물학적인 근거를 비롯해 사회학적인 인식, (국가정신)문화론적 인식 위에서 복합적으로 사유되던 당시의 혼혈론은 공교롭게 GHQ 점령기로 이어지면서 더욱 공고해진다. 강화조약 발효 이후 혼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금전적’ 책임론으로 시작된 혼혈 문제는 차츰 ‘순혈주의, 민족 정조’와 같은 담론의 영역으로 확산되어 간다. 이는 혼혈아들이 학령기를 맞아 사회적으로 대거 노출되면서 일본의 ‘패전의식’의 가시화와 맞물려 민족적 수치심을 자극하는 결과라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승자와 패자라는 미일관계 차원에서 규정되는 혼혈아들에 대한 관념이 일본 사회의 차별과 편견의 대상으로 ‘공적 서사’화 되어감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혼혈아 문제가 전쟁에 부수하는 것이라고 보는 전후 일본 사회의 시각이 갖는 특징을 ‘특이한 세계성’과 관련해 생각해 보았다. 그것은 백색인종에 대해 심적으로 동경했던 메이지시대 일본인들의 주된 ‘세계관’과 서양 인종주의의 일본식 권력화와 관련된다. 즉 전후 일본 사회에서 강화되는 흑인계 혼혈아에 대한 철저한 편견과 차별은 서양 인종주의적 시각을 그대로 답습해 온 일본인종론과 맥을 같이 하는 한편, 전전의 열
    등한 존재로서의 아시아인의 위치를 흑인이 대체하게 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혼혈 문제는 단순히 전쟁의 부수물이라는 패전의식 외에도 철저히 정치 역학과 같은 권력 구조상의 인식 속에서 중층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 of consecutive and non-consecutive perceptions of Japan's mixed blood theory, which was accompanied by the claims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look deeply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damental mechanisms that act on Japanese theology. And thi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racking the changes of racist vision of modern Japan in the future.
    In the 1940's, the theory of mixed blood is used as a logical basis while Japanese dominance spreads domestically by the cultivation of eugenics and by the advocac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As the US military occupation continues, the theory of mixed blood, which has been complexly thought out on biological basis, sociological awareness, (state spirit) culturalism, becomes more and more publicized unfortunately. Discussions about mixed blood became active when the peace treaty was signed. The half-blood problem started with 'monetary' accountability and gradually spread to areas of discourse such as 'pure blood' and 'national chastity'. This was the result of the mass exposure of mixed-race children to the school year, provoking national disgrace with the visibility of Japan's sense of defeat. In the process, the notion of mixed-bloods, which is defined in terms of the U.S.-Japan relationship, was becoming a "public epic" subject
    to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Japanese society.
    Lastly, I considered the unique values of the Japanese society's view that the issue of mixed-race children is incidental to war. It is related to the main 'values' of the Japanese during Meiji period, which had a strong longing for white race, and the Japanese power of Western racism. In other words, thoroug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mixed blood between black and Japanese strengthened in postwar Japanese society is in accord with Japanese racialism that has followed Western racist views.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e phenomenon that black people replace the position of the Asian as the inferior existence of the war. Apart from the sense of defeat, the problem of mixed blood has a mixed meaning in terms of power structure, such as political dynam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