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지명사전 편찬 동향과 지향점 (Progress and Prospect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9.11
43P 미리보기
한국의 지명사전 편찬 동향과 지향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85호 / 103 ~ 145페이지
    · 저자명 : 김기혁

    초록

    우리나라에서 일찍부터 지리지가 백과사전 형태로 편찬되었지만 근대적인 의미의 사전은 일제강점기 지형도 제작이 계기가 되었다. 지명 조사사업의 결과인 『조선지지자료』 를 시초로 볼 수 있으나 이는 사전이라기보다는 지명 목록집(gazetteer)에 가깝다.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지명을 정리한 자료집이 간행되었고, 『동국여지승람』,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역사지명이 정리되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 국토 분단으로 인해 지명사전은 남⋅북한이 궤적을 달리하였다. 남한에서는 196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편찬되었고, 이 중 『한국지명총람』(1966-1986)과 『한국지명유래집』(2008-2013)이 대표적이다. 『한국지명총람』은 전질 20권으로 간행되어 가장 규모로 편찬되었다. 내용은 당시 중앙지명위원회의 지명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한국지명유래집』은 남⋅북한의 현재 지명을 대상으로 국토 분단 이전의 지도와 지리지를 이용하여 유래를 설명하였다. 북한은 1966년의 지명 조사 사업결과를 바탕으로 『고장이름사전』(2001-2002)을 발간하였다. 이 사전은 북한 지명이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적지 않게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많은 지명사전이 출간되었으나 근대 이전의 지리지, 현지 조사, 도시화 등사회⋅경제적인 변화를 바탕으로 수준 있고 치밀하게 편찬된 사전은 아직 편찬되지못하고 있다. 인근 동아시아 국가와의 수준 차이는 국토의 분단 상황이 원인이기도 하나 지명 조사가 장기적인 계획하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국가 차원의 지명 관심은 지명 정리 등의 기초 분야보다는 ‘독도’, ‘동해’와 같은 영토지명 연구로 집중되어 있어, 이는 연구 자원의 비합리적인 배분의 원인이 되고 있다.
    21세기의 국가 지명사전은 지명의 속성을 바탕으로 역사성과 미래의 예상되는 변화를반영하면서, 중앙 연구기관에 의한 표준화와 다양성을 동시에 실현하고 확장성이 가능한 방향으로 편찬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blication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and gazetteer in Korea began with modern mapping in early 20th centur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Of course, many historical geography and old maps were published in Joseon dynasty, but those books were not dictionary in terms of a mordern sense. As in Europe, systematic compilation of place names began with the topographic large-scale mapping, Mapping were led by Japan and early product of dictionary were not beyond the gazetter focused on the administrative place names.
    The publication of dictionary began after Independence since 1945. But division of land caused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place names because of communist ideology.
    Many dictionaries of place names were published, and the representatives in south Korea are Dictionary of Place Names in Korea (韓國地名總覽, 1966-1986, 20 Vol.) and the Origi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韓國地名由來集, 2008-2013, 6 Vol.). In north Korea, Dictionary of Place Names of County (고장이름사전, 2001-2002, 10 Vol.). In the the Origi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among those dictionary, origin of place names in south and north Korea were explained through the old maps and historical geography published before the division of land.
    Even though many dictionaries of place names were published since 1945, dictionary with the systematic and detailed explanation about place names were very rare. This is due to many reasons. The shortage of academic research of place names or toponyms is the most important reasons. The legitimate and national-scale publication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should be proceed with long-terms, but divison of land is the great barrier. And the other reason is that government policy of place names are almost focused on the territorial problem, such as ‘Dokdo (獨島)’ and ‘East Sea (東海)’. This distorted distribution of resource are become the obstacles to the long-term research of place names on national scale. National Dictionary of Korea Place Names in 21th century should compiled toward the reflection of histotical context of land, diversity with standardization of place names and expandibility of datab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