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체, 시간 사유의 장면: 『도덕의 계보』 2부 1-3절 - 기억, 약속, 미래, 주권적 개인과 관련 주제들 (Nietzsche: Scenes of contemplation on time,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II, sec. 1-3 - Memory, Promise, Future and Themes related with Sovereign Individual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04
49P 미리보기
니체, 시간 사유의 장면: 『도덕의 계보』 2부 1-3절 - 기억, 약속, 미래, 주권적 개인과 관련 주제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니체학회
    · 수록지 정보 : 니체연구 / 45호 / 33 ~ 81페이지
    · 저자명 : 김주휘

    초록

    니체가 시간에 대해 사유하는 몇 개의 눈에 띄는 장면들이 있는데, 『반시대 적 고찰』에서 역사에 대해 사유하는 대목, 『차라투스트라』에서 정오와 영원성에 대해, 영원회귀에 대해 사유하는 대목, 그리고 우리가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계보』의 기억과 미래에 관한 대목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계 보』는 니체 후기의 저작으로서 여기에는 그의 오랜 사유의 결실이 농축되어 있 다고볼수있다.특히『계보』2부는중심주제가‘양심의가책’의기원이지만,그 에 앞서 ‘양심’을 논하는 1~3절은 니체의 인간론, 주체론, 개인론, 공동체론, 이성 론이라 할 수 있는 것을 압축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특히 니체가 여기서 등장시 키는 ‘주권적 개인’에 대한 사유는 양심과 책임, 자율과 자기 창조, 주권성과 위대 한 정치 등에 대한 윤리적·정치적 성찰로 우리를 안내한다. 우리는 이 글에서 『계보』의 이 대목이 포함하는 몇몇 모티브들을 살펴보고, 인간 주체의 형성 과정 과 공동체의 지위와 역할에 주목하며 ‘주권적 개인’을 니체의 개인/공동체론 안 에서 이해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특히 우리는 주권적 개인의 ‘자율’을 반성성과 진정성의 두 계기로 이해할 것을 제안하고, 그의 ‘주권성’을 신적인 전지전능으 로 오해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영어초록

    In Nietzsche’s writings there are several conspicuous scenes where he contemplates on time, such as Untimely Meditations II, where he talks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history to life, Zarathustra III, where he sings of the eternity and noon, of the eternal return, and Genealogy II, where he broods over such themes as memory, promise, future and responsibility. We deal with the last of these scenes mentioned in this essay. It belongs to Nietzsche’s mature works and, though its main subject is the origin of the ‘bad conscience,’ sections 1-3 deal with the nature of ‘good conscience’ and present what might be called Nietzsche’s theory of individual and community. The thoughts of the ‘sovereign individual’ lead us to contemplate on the major themes of ethics and politics such as the nature of conscience, responsibility, autonomy, self-creation, sovereignty and even the great politics. In this essay we focus on the role of community in the constitution of human subject and situate the notorious ‘sovereign individual’ in the dynamic course of communities’ rise and fall. In particular we suggest to understand the autonomy of sovereign individual as comprising two phases of reflexivity and authenticity, and not to misunderstand his sovereignty as godlike might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