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은총’과 ‘경험’의 상관관계 연구 ―성결-오순절 교의학 방법론을 위한 시론(試論)적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ce and Experience: Methodology of Holiness-Pentecostal Dogmatic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8.05
42P 미리보기
‘은총’과 ‘경험’의 상관관계 연구 ―성결-오순절 교의학 방법론을 위한 시론(試論)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선교 / 52호 / 9 ~ 50페이지
    · 저자명 : 최인식

    초록

    본 논문은 성결-오순절 전통의 신앙고백과 신앙경험을 담아내는 교의학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의 한 시론이다. 특별히 성결-오순절 신앙경험은 전통적인 개신교나 가톨릭의 교의학적 규범에서 볼 때 그 틀을 벗어나는 경우가 많음으로 인하여 이단시비나 소모적인 신학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현실이다. 특별히 개신교의 개혁주의 전통과 성결-오순절 전통 간에는 관점의 차가 크다. 그 가운데 핵심 되는 신학적 이슈는 “경험”의 문제다. 왜냐하면 개혁주의 교의학 전통에서 경험은 소극적이거나 아니면 부정적인 반면, 성결-오순절 전통에서는 경험의 위치를 매우 적극적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의 차이는 교의학 방법론에서 은총의 문제를 보는 차이에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성결-오순절 교의학이 신앙경험을 정당하게 방법론적으로 세우려고 한다면 은총론 안에서 경험의 위치를 신학적으로 규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종교개혁자들이나 가톨릭이 은총론에서 빚지고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은총론을 보다 통전적으로 해석해 내어 신앙경험을 은총론 안에서 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iming at seeking to construct the dogmatic methodology of holiness-pentecostalism, emphasizing the Christian doctrine of grace. Specifically, author attempts epistemologically to use the theology of spirituality as an introduction to the dogmatic methodology of the holiness- pentecostal theology. Compared to the failure of the mixture between reason and feeling in 18-19th century’s theology, this paper suggests a new dogmatic holiness-pentecostal methodology in which the main focus is not on theology but on spirituality, the integration of the faith and practice is accomplished, and the antinomy between reason and feeling in the 18-19th century’s theological dilemma is overcome.
    Moreover, author recommends holiness-pentecostal theologians to carry out this dogmatical tasks for building a new methodology of the holiness-pentecostal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doctrine of grace. It’s because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holiness-pentecostal tradition, deeply rooted in Arminian-Wesleyan heritage, has been misunderstood as Synergism or Pelagianism in soteriology by the Reformed Church.
    In order for theological response to this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Church, author employs both the theology of spirituality and the doctrine of grace in constructing the dogmatic methodology of the holiness-pentecostal thought. Based on these theological angles, author vividly seeks to evade the theological attacks from the Reformed Church and furthermore to correc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Church. Finally, this paper successfully proposes the theological methodology of holiness-pentecostal tradition, well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ngelical cooper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experience-oriented discourse, spirituality- focused structure, and all-comprehensive 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선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