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교의 금욕주의(Asceticism) - 上淸派와 全眞敎를 중심으로 (The Asceticism of Chinese Daoism: Ascetic and transcendental aspects of the religious ideal and pratices of the Shangqing Daoism and Quanzhen Daoism)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5.11
46P 미리보기
도교의 금욕주의(Asceticism) - 上淸派와 全眞敎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43호 / 101 ~ 146페이지
    · 저자명 : 최수빈

    초록

    본 논문은 금욕주의(asceticism)를 주제로 도교의 종교적 특성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한다. 특별히 중세도교의 핵심분파인 上淸派와 근세 도교의 중심분파인 全眞敎의 문헌을 중심으로 도교인들이 제시한 神仙의 이상과 그것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실천되는 다양한 금욕적 수행, 그리고 모든 세속적 가치와 절연하고 隱逸하는 도교인들의 삶의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도교의 구원관이 가지고 있는 금욕주의적이며 초월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금욕주의(asceticism)’라는 표현은 두 가지 방향의 ‘초월’, 즉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 혹은 자기변화(self-transformation), 그리고 초세간, 혹은 세속적 가치의 초월(transcendence of secular world)의 맥락에서 사용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욕주의(asceticism)의 개념 안에는 개인의 욕망을 부정하는 금욕과 세속적 가치를 부정하는 초세간주의 양자를 내포하고 있다. 서양종교의 경우, 궁극적 실재와 현상계, 그리고 이에 배열되는 정신과 육체 사이의 간극이 대체로 인정되므로 금욕주의가 세속과 육체 양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포섭하는 개념이다. 이와 달리 중국같이 내재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종교전통에서는 근본적으로 자연과 우주 자체, 혹은 물질과 육체 자체에 대한 절대적 부정정신은 없다. 그러나 도교의 경우에는 세속적 가치나 욕망, 그리고 세속적 가치와 기준에 의해 본성을 상실한 개인의 의식과 육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따라서 금욕주의적 태도를 지향한다.
    대략적으로 말해 도교의 금욕주의의 기원은 노자의 욕망관에 기초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노자는 교육, 혹은 사회화를 통해 인간이 욕망과잉의 상태에 놓여 있다고 분석하고 그 대안으로서 ‘無知’와 ‘無欲’을 통한 ‘無爲’的 삶을 제시하였다. 無慾은 결국 인간의 욕망을 본래적 양태, 곧 자연적 상태로 회복시키려는 것을 의미하여 이것은 후대 도교의 욕망관의 토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도교의 금욕주의에 강한 영향을 준 또 다른 하나는 불교적 세계관과 수행법이다. 상청파와 전진교의 금욕주의적 수행의 양상 안에서 불교적 특성과 내용을 확실하게 찾아볼 수 있다.
    상청파 도교인들은 금식과 철야, 독신과 청빈 등 극도의 자기훈련의 금욕적 수행을 실천했다. 그들의 금욕적 수행은 육체와 정신 양면의 완성을 위한 것이었으며, 무한한 생명을 향유하고 비일상적 힘을 소유한 초인적 존재로 변화시켜주는 수단이었다.
    전진교의 경우 금욕주의적 양상이 한 층 더 강화된다. 창시자인 왕중양으로부터 전진교 도사들은 금식과 출가 등 극단적인 고행주의적 수행을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출가를 중심으로 은일적 수도자의 자세를 중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모든 수행은 결국 이타행, 곧 중생의 구원의 실현이라는 이상으로 연결된다. 전진교의 금욕적 수행은 대승적 차원에서 그것의 참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진교 문헌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그들의 금욕적 수행과 종교적 이상을 규명할 것이다.
    상청파와 전진교 모두 신선의 존재양식을 묘사함에 있어 죽음과 삶을 초월하여 자유롭게 선택하는 존재로 표현하고 있다. 그렇다고 그들의 불사가 정신의 불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말하는 신선(transcendent)은 정신과 육체의 통합체로서 영원과 자유의 초월적 경지를 향유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도교 금욕주의적 수행의 가장 큰 특징은 육체의 부정이나 파괴가 아니라 육체의 새로운 완성을 지향하고 우주와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것에 있다. 도교는 은둔주의적이고 금욕적이지만 자연세계 차제는 부정하지 않는 독특한 유형의 금욕주의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for examining the ascetic characteristics of Daoist practices and religious ideas, described in the texts of Shangqing School(上淸派, Highest Clarity School) and Quanzhen School(全眞敎, Complete Perfection School) of Chinese Daoism.
    The Adepts of Shangqing School and Quanzhen School endeavored to practice severe ascetic techniques for achieving immortality, or transcendent(xian, 仙) such as fasting, meditation without sleep for a long time and continence of sexual desires.
    In this paper asceticism is defined as two meanings that are self-transcendence and transcendence of the secular world. It also means the restoration of inherent self.
    Max Weber contrasted the asceticism and the mysticism instead of defining the concept of asceticism, which is not an object to define easily. According to Weber's typology of religions, Daoism can be classified in the category of world-fleeing mysticism. In contrast with the asceticism, the mysticism, Weber explains, does not regard the world as the battle for God. The world-fleeing mystics, instead seeks to minimize the world’s impact on his life and attempts to divest himself from everything that reminds him of the world.
    General understanding of Daoism including Weberian's one is very ambivalent, that is world-fleeing and at the same time, mundane. Daoists are considered as the seekers of mystical union with Dao(or divine reality) through reclusive meditation and severe ascetic practices and also of longevity and health by various techniques of cultivating Qi energy of body. Their religious ideal, that is immortal or transcendent(仙) is misregarded as the preservation of physical body or longevity.
    However, the essentiality of immortals lies in the self-transcendence and transcendence of secular values and desires of the world. The materials from various texts of Shangqing and Quanzhen School evidently show the transcendental attitudes to the mundane world and struggle for self-restraint of the adepts of two schools. Their religios goal, immortality does not merely mean the bodily health and longevity but mean attainment of Dao, that is the realization of complete self with intact mind and body through overcoming lustful and excessive desires originated from secular values and knowledges(informations).
    The ideals and practices of Daoism to accomplish the immortal can be regarded as a peculiar type of asceticism which does not belong the any type of Weber's typ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