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전·중기 왕실의 친족구조와 왕실 封爵制운영원리 (The Structure of Kinship and Marriage of the Royal Family and Operating Way of the Royal Investiture System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s of Goryeo)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3.04
42P 미리보기
고려 전·중기 왕실의 친족구조와 왕실 封爵制운영원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앙사론 / 58호 / 45 ~ 86페이지
    · 저자명 : 황향주

    초록

    본고는왕조사회의최상위정치집단임과동시에국왕의공인된가족이었던왕실의이중적속성에주목하여, 왕실을규정하는각종제도와고려의 사회문화적 특성 간 상호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려 왕실은 왕실 구성원들의혈연 또는 혼인에 따른귀속관계를 궁원명에 반영한 뒤 궁원명 기반으로 공식칭호를 부여하는 초기 단계의 편제를거쳐중국봉작제를왕실편제에활용하게되었다. 중국의제도를참조하였으나고려시대왕실봉작제의형식과운영원리는중국의봉작령과크게 동떨어졌다. 그 원인은 종법질서와 단계혈통원칙의 유무, 근친혼속과같은사회저변의풍속차이에서찾아볼수있다. 부계종법질서의논리를봉작령에투영한당송의경우역대황제의直子들로부터파생되는단선적계보를물리적으로결합하면황실의전체규모를확인할수있다. 반면고려는국왕의부계후손인왕자·왕손만을봉작대상으로삼지않았다. 국왕의 딸 또는 손녀와 혼인함으로써 국왕 일가로 편입된 남성들 또한 봉작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고려 왕실의 봉작범위는 왕자·종남의 기본가족과왕녀·종녀의 기본가족에 대칭적으로 설정되었다. 나아가 고려 왕실이 유지한 독특한 ‘종실내혼’ 규범에 의하여, 왕후·태자비·왕자비·王壻를 배출함으로써 국왕의 결연자 위상에 오른 종실에 대해서도 초봉·진봉의 예우가 더해졌다.
    본고는인류학의일차친척·이차친척·삼차친척개념을도입하여동시기법제적 왕실로 존재할 수 있는 諸王들의 대체적인 범위와 국왕의 개별적친속관계를도식화하려는시도를하였다. 그에따르면, 고려전·중기諸王의 친족구조는 現王의 이차친척을 기본 골격으로 하였고, 단선적이지 않은 이러한 구조는 고려의 총계적 사회구조를 여실히 반영하였다. 여기에고려의 ‘종실내혼’ 규범이 개입되면서 대체로 도식 내의 諸王들은 복수의친속지위를보유하게되었다. 종제였던諸王이처부가될수도또는妹夫 나사위가될수도있는고려의시스템속에서당송의봉작령처럼왕자·왕제·왕손 등을 일일이 언급하며 각 친속 지위에 걸맞은 작위를 나열하는것은 무의미할 수밖에 없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ystems for defining the Goryeo royal family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dynasty is examined. The Goryeo royal family members had official titles related to their palace names where they lived and which reflected the blood ties or marriage relationships among royal family members right after the founding of that country. This initial system was replaced by the Chinese investiture system but in a process of replacement many creative transformations were involved.
    The constitution and operating way of the royal family investiture system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s of the Goryeo dynasty were far from those in T’ang and Song dynasty. That’s because Chinese clan rules system based on patrilineal descent society was not efficient in the Goryeo society, and, furthermore, its royal family members were regulated by systematic endogamy. In the Goryeo dynasty, not only sons and grandsons but also daughters and granddaughters of the king were involved in the royal family investiture system. The title of Count (伯) was bestowed upon spouses of princesses. Grandsons and spouses of granddaughters of the king were invested with Sado (司徒) and Sagong (司空). Royal family members whose sons or daughters were married with king or married with king’s children were also invested with royal titles like Duke (公) and Marquis (侯).
    Structure of kinship and marriage of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s of the Goryeo dynasty was similar to primary and secondary relatives, which were concep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anthropology, and this structure reflected the cognatic descent system in the Goryeo society. The Goryeo royal family members, also called Jewang (諸王), possessed plural statuses of kindred in this structure because of systematic endogamy amongst royal family members. It was meaningless to mention each title and each qualification one by one as T’ang and Song did because in the Goryeo dynasty king’s cousin could be his father-in-law, brother-in-law, or son-in-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