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회 전인교육의 철학적 기초와 장년 교육의 과제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hurch’es Whole Person Education and a Task of Adult-educa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06
41P 미리보기
교회 전인교육의 철학적 기초와 장년 교육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정보 / 49호 / 69 ~ 109페이지
    · 저자명 : 안영혁

    초록

    교회는 신앙교육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신앙교육과 학교교육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명확히 알아야 한다. 학교교육의 목표는 도덕적 인간 형성이다. 교회교육의 목표는 하나님 형상의 회복이다. 이 목표는 도덕적 인간을 물리치고 신앙적 인간이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도덕적 인간에 더하여 이를 넘어 신앙적 인간이 되는 것이다. 학교교육의 전인성과 교회교육의 전인성이 갈라지게 된 학문적 계기는 스피노자와 칸트에게서 명확하게 찾을 수 있다. 이들은 하나님 계시에 의존하는 기독교신앙을 위험하다고 보았고, 칸트는 종교는 도덕적 인간 이상에 도달할 수 없다고 보았다. 칸트의 학문적 입장에 근거하여 근대는 자유롭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히틀러의 통치에 아무런 반대의 조치를 내 놓지 못하는 교회를 보며, 본회퍼는 교회의 무기력함이 칸트의 학문성을 넘어가지 못하는 교회의 태도에서 나온다고 비판하였다. 특히 신학에서 칸트의 입장을 견지하고자 하는 것은 신학적으로 위험한 것이었다. 본회퍼는 칸트의 윤리학과 함께 당시 독일교회를 비판하였는데, 이는 당시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비판이기도 했다. 이리하여 본회퍼는 현대 안에서 기독교인에게 도덕성 너머의 신앙적 인간성을 요청했다. 이것이 그의 기독교 윤리학의 입장이다. 교회교육이 학교교육과 다른 것도 본회퍼와 칸트의 차이와 같다. 즉 교회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학교교육은 일단 이성의 한계 안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은 그 이상의 신앙과 관련된 현실을 가지고 있고, 이에 대하여는 신앙교육이 그 이해와 전망을 제공해야 한다. 아울러 오늘 세계는 다원종교 상황 안에 있다. 당연히 학교에 기독교 교회의 신앙교육을 요청할 수 없다. 이런 상황 속에서 교회는 신앙교육을 포함하는 전인적 교육을 행하되, 교회의 성도들에게 이를 행하게 된다. 따라서 교회의 교육은 이성중심의 학교교육을 교육의 한 부분으로 인정하고 수용하는 한편, 여기에 신앙교육을 더함으로써 전인교육의 전체성을 확보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회는 특히 장년 성도들에게 해석학적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 해석학적 교육은 성도들에게 교회와 사회 사이의 관계를 이해시키는 것으로 행하여져야 한다. 그리함으로써 전인교육이란 관점에서 교회의 신앙교육이 학교의 이성 및 도덕교육을 포괄하고 또 넘어서는 위치에 있다는 것을 온 기독교교회가 확고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또 그에 따른 신자의 삶을 살아가는 철학적 기초와 전망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hurch should know clearl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education and the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identity of church education. The goal of the school education is to form a moral man. The goal of the church education is the restoration of the God's Image. This is not to say becoming a religious man instead of becoming a moral one. That’s becoming a religious man together with becoming moral man. Roughly speaking we have found the decisive academic clue of the separation between church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from Spinoza and Kant. Kant saw that it is unable for a religious man to transcend a moral man. Thanks for Kant modern disciplines has flourished freely. But Bonhoeffer contended that the churches’ weakness was due to not overcoming Kant’s formulations. In particular, it was dangerous to adhere to the Kant's view in theology. Bonhoeffer criticized Kant and contemporary German Church. And it’s also opposing the theological liberalism. Thus in modern times Bonhoeffer acquired to Christians the humanity of faith beyond morality. That way the church is different from school education. In the church education the school education is accepted to exist in the limits of reason. But man has religious reality. The Church has to confront this realm by teaching the faith. But we can not acquire to school church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church performs Christian whole person education only to church members. That way the church becomes the control tower of whole person education. To do this, the church should conduct hermeneutic training to the Saints, including the parents. This hermeneutic education will make the saints learn more the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society. And all the Christians will obtai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which provides the way of Christian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정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