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말선초의 효자전 양상 − 「우인효자군만전」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Hyojajeon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Wooin Hyoja Gunman jeon)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1.06
19P 미리보기
여말선초의 효자전 양상 − 「우인효자군만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문화와 사상 / 10호 / 73 ~ 91페이지
    · 저자명 : 윤태후, 이창근

    초록

    전(傳)의 형태를 띠고 있는 「우인효자군만전」의 시대적 배경은 고려말이며, 저자는 여말선초 성리학자 및 정치인으로 잘 알려진 권근이다. 그는 증조부 권보와 조부 권준이 편찬한 효행록에 후서와 주해를 쓴 것으로 보아 유학에 대한 박식함과 효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고 볼 수 있다.
    「우인효자군만전」보다 앞서 발행되었던 설화형태의 삼국사기 「열전」과 삼국유사』 「효선편」에서 표현하는 효개념은 「우인효자군만전」에서 표현하는 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양상이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를 서술함에 있어 설화와 전에서 표현하는 양상에서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구성적, 기술적, 논리적인 측면에서 검토할 예정이다. 효행설화에서 효를 부각시켰던 방법은 주로 중국인을 각색한 주인공이 연로하거나 병약한 부모님을 대상으로 효행하는 서정적 분위기와 효행은 곧 복을 받는다는 기복적인 내용이었다.
    반면 「우인효자군만전」에서는 주인공 설정의 탈중국화, 효행대상자인 부모가 노약하거나 병약한 분위기에서 벗어나는 탈서정화, 효행을 하면 복을 받거나 하늘의 도움을 받는다는 기복적인 결론에서 벗어난 탈기복화로 기술(記述)적 표현이 발전되었으며, 이에 따라 효를 표현하는 방법이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즉, 「우인효자군만전」에서 언급한 불효 10죄가 효경, 명심보감, 맹자그리고 고려율을 적용했을 때 명백한 불효임을 논리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는 효를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척도구로 불효를 사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고려말 「우인효자군만전」에 시도된 새로운 양상들은 조선시대 『삼강행실도』의 발행에 등장인물과 발간목적에 영향을 준 동기가 되었으리라 사료되며, 새롭게 시도된 표현방식과 문헌을 통한 논리적 근거를 이용해 효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ackground of "Wooin Hyoja Gunmanjeon," which has the form of Jeon, was the late Goryeo Period. The author was Kwon Geun, well-known as a Neo-Confucian scholar and politician. Considering that he wrote a poster and a book titled "Hyo Haengnok," compiled by his great-grandfather Kwon Bo and his grandfather Kwon Joon, he was highly knowledgeable about Confucianism and was interested in filial piety.
    The concept of filial piety expressed in the "Samguk sagi," "Yeoljeon," and "Hyo Seonpyeon," which were published earlier than "Wooin Hyoja Gunmanjeon,"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expressed in "Wooin Hyoja Gunmanje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aspects expressed in the previous in describing filial piety, and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m in terms of composition, technology, and logic.
    The method that highlighted filial piety in the story of filial piety was mainly about the lyrical atmosphere and filial piety of the main character, who adapted from Chinese, toward elderly or sick parents, which are blessed.
    On the other hand, "Wooin Hyoja Gunmanjeon" showed that technological expressions were developed in de-Chinaization of the main character's setting, de-lyrical atmosphere of parents who were filial piety, and de-breeding from the conclusion that filial piety would be blessed or helped by heaven. In other words, it logically states that the ten sins of filial piety referred to in the "Wooin Hyoja Gunmanjeon" are obvious in the application of "Hyogyeong," "Myeongsim Bogam," "Mencius," and Goryeo Dynasty. This can be seen as an alternative tool to emphasize filial piety.
    The new aspects attempted in the late Goryeo Period "Wooin Hyoja Gunmanjeon" were believed to have influenced the publication of the "Samganghaengsildo"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emphasized filial piety through newly attempted expressions and logical evi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문화와 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