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OVID-19 발생 전․후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 분석 (Mobility Change around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3.08
18P 미리보기
COVID-19 발생 전․후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51권 / 4호 / 101 ~ 118페이지
    · 저자명 : 최가윤, 김용국, 권오규, 유예슬

    초록

    팬데믹 기간 동안 도시민의 생활권 공원녹지 이용률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COVID-19의 발생은 도시민들에게 생활권 공원녹지의 가치와 기능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 시민들의 이동 및 생활권 공원녹지 이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실증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사회․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첫째, 통신사 시그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를 분석하였다. 체류시간 및 이동량 변화 분석을 통해 COVID-19 발생 이후 나타난 시민들의 이동 특성과 보행 기반의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COVID-19 발생 전․후 시민들의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후 군집분석을 통해 생활권 공원녹지 서비스의 공급 및 관리 관점에서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생활권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생활권 공원녹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발생 이후 거주지 주변 500m 이내에서의 활동이 증가하였다. 도보생활권에서의 체류시간과 보행 이동량은 2020년과 2021년 모두 증가하였으며 이는 변화한 도보생활권의 범위를 고려해 공원녹지의 양적 확보 기준과 유치거리 등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둘째, 보행을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이 COVID-19 발생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집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뿐만 아니라 직장을 중심으로 한 방문량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 팬데믹 시대의 공원녹지 정책은 주거지와 상업․업무시설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 소외지역을 발굴하고, 해당 지역의 공원녹지 서비스를 양적․질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원녹지 서비스 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보행을 통한 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녹지의 확보 기준을 단순 면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보행 접근성 등 시민들의 실제 공원녹지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는 지표를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군집분석 결과 팬데믹 시대에 대응한 생활권 공원녹지의 개선 유형이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이는 앞으로의 공원녹지 정책에서 소규모 생활권 단위의 사회경제적 지위 특성, 공원녹지 서비스 수준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통신사 시그널 데이터 분석, GIS 분석, 통계분석 등 다각적인 분석 방법론을 활용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한 생활권 공원녹지 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학술적,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utilization rate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outbreak served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the values and functions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for urban resident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how citizens' movement and the use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changed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examine the soc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ed these changes. As a research method, first, people's mobility around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ere compared using signal data from telecommunication carriers. Through the analysis of changes in residence time and movement volume,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citizens after COVID-19 and changes in walking-based park visits were examined.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mobility change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were analyzed. The soc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itizens' visits to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fore and after COVID-19 were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bsequently,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types of living areas for the post-COVID era were class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pply and management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service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y type were presented.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ctivities within 500m of the residence have increased. The amount of stay and walking movement increased in both 2020 and 2021, which means that the need to review the quantitative standards and attractions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has increased considering the changed scope of the walking and living area. Second, the overall number of visits to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y walking has increased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number of visits to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centered on the house and the workplac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park green policy in the post-COVID era should be promoted by discovering underprivileged areas, focusing on areas where residential, commercial, and business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nd improv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ervice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ark green service, the higher the amount of walking movement. It is necessary to use indicators that contribute to improving citizens' actual park green services, such as walking accessibility, rather than looking at the criteria for securing green areas. Fourth,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five types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were derived in response to the post-COVID era.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iving areas and the level of park green services required in future park green policies.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olicy significance in that it has laid the basis for establish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policy in response to the post-COVID era by using various analysis methodologies such as carrier signal data analysis, GIS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