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덕궁 선정전의 의례 공간적 건축 구조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Seonjeong-jeon in Changdeok Palace as a Ceremonial Hall)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0.04
14P 미리보기
창덕궁 선정전의 의례 공간적 건축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9권 / 2호 / 39 ~ 52페이지
    · 저자명 : 이종서

    초록

    창덕궁 편전인 선정전은 의례 공간으로서 정형성과 보수성이 강한 건축이다. 그러나 현재는 전면 칸에 설치된 문, 내부의 바닥 시설, 어좌의 핵심 부분인 좌탑을 변형하거나 철거하였다. 선정전 전면 세 칸에는 모두 문이 있어, 어칸은 국왕만 출입하였고, 신하들은 좌‧우 협칸으로 출입하였다. 그러나 1999년에 동‧서 협칸의 문을 창으로 개조함으로써 건축에 반영된 정치적 맥락을 상실하였고, 조선전기부터 전승된 구조적 특징을 훼손하였다. 현재 선정전 내부에는 우물마루가 설치되어 있지만, 일제 강점기 이전에는 편전 내부에 방전을 깔았던 조선전기의 법식에 따라 방전을 깔았다. 선정전 중앙칸 북쪽에 설치된 어좌는 당가(唐家)와 좌탑(座榻)의 조합으로 이루어졌으며, 당가와 어탑을 연결하는 후면의 두 기둥 사이에는 일월오봉병을 그린 장자를 설치하였으나 현재 좌탑은 철거되고 당가와 어탑을 연결했던 후면 기둥과 기둥 사이의 장자틀만 남아 있다.

    영어초록

    Seonjeong-jeon, the semi-great hall in Changdeok Palace, was constructed in a highly formal and conservative style and accommodated official ceremonies. However, the contemporary modification of the building has distorted or eliminated features including the two side doors on the front, the floor coverings, and the throne base (Jwa-tap) that consisted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e throne. Seonjeong-jeon originally had three doors that stood between each pair of columns on the front side, respectively. The courtiers accessed the building through the side doors, while the central door was exclusively designated for the king. However, the renovation in 1999 ignored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building and changed the side doors into windows, damaging the traditional structure inherit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the building currently has traditional wooden floor structure (Woomul-maru), it was originally covered with square brick tiles (Bang-jeon)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following the customs of early Joseon Dynasty. The throne was placed to the north of the central door and consisted of the throne base and a decorative roof (Dang-ga). A canvas (Jang-ja), which featured the royal symbolic painting of Sun, Moon, and Five Peaks, was also installed between the two columns that connected the base and the roof. Nevertheless, only the columns and the blank canvas remain nowadays after the removal of the b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