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사회의 ‘춘향전’과 전유되는 전통 (Chun-hyang Jeon in Colonial Society and The Appropriation of a Tradi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1.03
41P 미리보기
식민사회의 ‘춘향전’과 전유되는 전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1호 / 219 ~ 259페이지
    · 저자명 : 이민영

    초록

    ‘춘향전’은 한국인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문학 서사 중 하나이다. 하지만 다양한 이본들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춘향전’의 대표성은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식민지 시기에 이르면 다양한 형태의 ‘춘향전’들이 출판사를 통해 인쇄된 활판본으로 전환되고 완판본과 경판본으로 유통되었던 이본 ‘춘향전’들이 완판본 계열의 『열녀춘향수절가』 중심으로 통일된다. 이와 같은 ‘춘향전’의 변모는 근대적인 문학제도의 구상과정과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바, 본 연구에서는 통속적이고 외설적인 하층민의 문학으로 간주되었던 ‘춘향전’이 한국문학의 전통을 담은 고전문학으로 정전화 되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민지시기 발간된 대표적인 ‘춘향전’인 이해조의 『옥중화』, 최남선의 『고본 춘향전』, 이광수의 『일설춘향전』과 더불어 김태준의 『원본 춘향전』, 조윤제의 『교주 춘향전』을 통시적으로 살펴본다. 그 결과 식민지 시기의 ‘춘향전’의 발간과정에는 적층문학적인 고전 서사의 전승 방식과는 다른 근대적 문학가들의 의도적인 개입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민지 시기의 ‘춘향전’은 『열녀춘향수절가』를 중심으로 서사를 통일하면서 외설적 통속성에 대한 대중의 요구를 열녀의 시련을 중심으로 재배치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춘향전’이 내포하고 있는 다성적 목소리들은 열녀 춘향이라는 하나의 목소리로 축소된다. 이후 활발하게 개작, 향유되었던 대중적 서사는 확정된 근대 문학의 전통으로 계보화 된다. 이 같은 전환의 과정에는 청자의 흥미에 따라 이야기를 변용하는 광대의 의도와는 다른 근대적 작가의 열망이 내포되어 있다. 이들의 노력에 의해 현재적인 텍스트였던 ‘춘향전’은 고전의 지위를 확보한 근대문학의 정전으로 역사화된다. 하지만 독자들의 흥미를 일정한 방향으로 계도하려는 근대적 지식인들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근대화된 ‘춘향전’에는 여전히 복합적인 대중의 욕망과 상반되는 주제 의식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갈등의 지점은 고전 ‘춘향전’의 의미뿐만 아니라 사라진 이본 ‘춘향전’들의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영어초록

    Chunhyangjeon is representative literature most known to Koreans.
    The representativeness of Chunhyangjeon needs to be reviewed in that there are various versions. The meaning of Chunhyangjeon, which has become national literature, cannot be fully understood only by the process of confining Chunhyangjeon to premodern literature and examining its copies and succession patterns. The colonial period is the time when various versions of Chunhyangjeon are decided as one version of YeolnyeoChunhyangsujeolga. In this study, the representative Chunhyangjeon published in the colonial period- Yi Haejo's Ok Junghwa, Choi Namseon's Kobon Chunhyangjeon, Yi Gwangsu's Ilseol Chunhyangjeon, Kim Taejun's Wonbon Chunhyangjeon (Original Chunhyangjeon), and Jo Yoonje's Gyoju Chunhyangjeon- are analyzed diachronical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dentity of the Yeolnyeo was strengthened in Chunhyangjeon, and the scenes of the first night, which were considered vulgar, were removed. These prove there was the longing for the modernity of intellectuals in the Chunhyangjeon of the colonial period. In the colonial period, Chunhyangjeon was consumed contemporary by the masses and at the same time, defined as a classic of the past. Through the process of republishing the Chunhyangjeon and determining the original version of Chunhyangjeon, the intellectuals of the colony could embody the concept of the literary tradition as a modern one and inserted it into the genealogy of modern literature that presupposes the modern public, citiz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