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시체제기 국민체력관리와 건민운동 (National Fitness Management and Geonmin Undong (Healthy People Movement) in Wartime Colonial Korea)

6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3.05
63P 미리보기
전시체제기 국민체력관리와 건민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연구 / 47호 / 333 ~ 395페이지
    · 저자명 : 최규진

    초록

    중일전쟁 뒤에 일제는 식민지 조선을 병영국가처럼 만들면서 국민의 일상생 활을 ‘전시형’으로 재편했다. 일제는 총력전을 치르려면 인적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일제는 국민체력관리와 체위향상 정책으로 인적 자원의 질을 높이고 양을 늘리려 했다. 국민체력관리란 개인의 신체를 국가가 관리하는 제도다. 신체의 국가관리는 개인의 신체가 국가에 귀속되는 과 정이기도 했다.
    일본은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1938년 1월에 후생성을 설치했다. 후생성은 국민의 체력강화정책을 펼쳤다. 여기서 말하는 ‘체력’이란 일본 육군의 지향을 반영하는 하나의 이데올로기였다. 일본 후생성의 방침은 식민지 조선의 인구정책 과 보건위생 정책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일제는 ‘체위향상’을 외치며 인적 자원 을 관리하려 했다. 전시체제기에 체육의 군사화와 함께 체력장검정과 체력검사 가 모습을 드러내었다. 1942년에는 일본과 똑같이 건민운동을 시작했다. 이 모 든 것은 전력 증강을 위한 정책이었다.
    체력장검정은 교련이나 ‘국방체육’과도 관계가 깊었다. 체력장검정과 체력검사는 개인에게 체력에 대한 강박관념을 주입했다. 체력장검정과 체력검사는 징병제에 대비해서 ‘인적 국방력’을 강화하려는 정책이었다. 특히 체력검사는 징병 제에 필요한 행정 체계와 운영을 점검하고 경험할 수 있게 했다.
    건민운동은 무엇보다 ‘건병’을 목표로 삼았다. 조선에서 건민운동은 그저 말 로만 건강을 다그쳤을 뿐이지 조선인의 건강을 향상하는 실제적인 조치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건민수련소 설치에서 보듯이 일제는 힘이 닿는 대로 인적 자원 을 최대한 확보하여 전쟁에 동원하려 했다. 조선의 건민운동은 일본에 견주어 건병을 훨씬 더 강조했다. 이 시기에 발표한 징병제와 관련되었기 때문이다. 전시 수탈이 심해지면서 건강을 유지할 사회적 기반은 무너졌다. 그런데도 일제는 국민에게 ‘의무로서의 건강’을 강제하고 ‘체력봉공’의 논리를 내세우며 인적 자원 을 거리낌 없이 동원했다.
    이 글은 전시체제기의 ‘국방 체육’과 국민체력관리 정책은 관계가 깊으며 일 본과 식민지 조선의 ‘인적 국방력’ 강화 정책은 서로 긴밀하게 맞물려 있다는 사 실을 강조했다. 또한, 여러 이미지를 활용하여 논지를 보강하고 그 이미지에 담겨있는 국가주의적 신체관을 해석했다.

    영어초록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reorganized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into a “war-type” by making colonial Joseon like a barracks state. Japan judged that securing human resources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wage an all-out war. Japan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and increase the amount of human resources through policies to improve national physical strength and the physical standards. National physical fitness management is a system in which the state manages an individual’s body. State management of the body was also a process in which an individual’s body was attributed to the state.
    Japan establishe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January 1938, during the Sino-Japanese Wa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implemented a policy to strengthen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people. The term “physical strength” here was an ideology that reflected the direction of the Japanese Army. The Japane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policy directly affected the population policy and health and hygiene policy of colonial Joseon. Japan implemented a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y, shouting for “improving physical standards.” During the wartime regime,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體力章檢定) and physical fitness tests appeared along with the militarization of sports. In 1942, Geonmin Undong (Healthy People Movement : 健民運動) was started just like Japan. All of this was a policy to increase military strength.
    The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was also deeply related to school (military) drill and ‘national defense sports.’ The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and physical fitness tests instilled an individual’s obsession with physical fitness. The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and physical fitness tests were policies to strengthen “human defense” in preparation for the conscrip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physical fitness test allowed us to check and experience the administrative system and operation necessary for the conscription system.
    Geonmin Undong (Healthy People Movement) aimed, above all, at ‘healthy soldier.’ In Joseon, the movement of making healthy people only promoted health by words, but did not take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health of Koreans. However, as seen in the establishment of the Geonmin Training Center, the Japanese tried to secure as much human resources as possible and mobilize them in the war. The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in Joseon emphasized healthy soldier much more than that of Japan. This is because it was related to the conscription system announced during this period. As wartime exploitation intensified, the social foundation to maintain health collapsed. Nevertheless, the Japanese forced the people to “health as a duty,” put forward the logic of physical public duty(體力奉公), and mobilized human resources without hesitation.
    This article emphasized that the ‘defense sports’ and national physical fitness management policies of the wartime regime are closely related, and the policies of strengthening ‘human defense’ between Japan and colonial Joseon are closely linked. In addition, various images were used to reinforce the thesis and interpret the nationalistic view of the body contained in the im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