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사사전 편찬의 역사와 과제 (History of Compiling Dictionaries of Korean History and Tasks in I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5.04
26P 미리보기
한국사사전 편찬의 역사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59호 / 117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철웅

    초록

    한국사사전이 편찬 간행된 것은 국어사전에 비해 매우 늦은 편이다. 현재 조사한 바로는 佐藤種治가 일본에서 펴낸 最新朝鮮歷史地理辭典 (1933)이 가장 앞선 것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몇 년 후에 최남선이 1937년1월부터 9월까지 매일신보 에 「조선상식」을 연재하였는데 그 항목과 내용은 해방 이후 간행을 추진했던 韓 國歷史辭典 의 모태가 되었다. 이후 최근까지 여러 차례 한국사사전이 간행되었다.
    해방 이후에 가장 먼저 나온 한국사사전은 柳志玉의 基礎國史辭典 (1949)이다. 이어 國史辭典 (1957), 韓國史辭典 (1959) 등의 소사전이 나왔다. 본격적인 한국사사전은 李弘稙의 國史大事典(上·下) (1962· 1963)이다. 이 사전은 이후 (增補)새國史事典 (1999)까지 재판과 개정을 거듭하여 나왔다. 그리고 柳洪烈이감수한 國史百科事典 (1975)도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최근에는 교학사에서 10권으로 한국사대사전 을 편찬간행하였다. 북한에서는 1971년에 력사사전 (1971)이, 그리고 이를 개정한 제2판이 1999~2004년에 나왔다.
    20세기에 들어 한국사사전은 꾸준히 간행되었다. 초창기에 소사전에서 출발한 한국사사전은 점차 백과사전을 표방하여 방대한 분량으로 간행되었다. 그 동안의 한국사사전은 개인이 편찬하거나 출판사를 중심으로 일부 학자들이 참여하는 형태를 띠어 항목 선정이나 내용에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는 학회 중심의 전문사전, 그리고 시대 추세에 맞게 온라인 사전으로 출간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roots of Korean studies are Korean language and Korean history. Thus, earlier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have been compiled. However, it was very late that dictionaries and encyclopedias of Korean history were published. According to researches till now, ChoesinJoseonYeoksajirisajeon (the New Dictionary of History and Geography of Joseon: 1933) compiled by Sato Taneji was the earliest.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Choi Namseon attempted to compile the dictionary of history, but he did not complete it. Since then, several dictionaries of Korean history have been compiled.
    The earliest dictionary of Korean history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was Ryu Jiok’s Gichoguksasajeon (the Basic Dictionary of National History: 1949). Then, Guksasajeon (the Dictionary of National History: 1957) and Hanguksasajeon (the Dictionary of Korean History: 1959) followed it. The earliest full-scale dictionary of Korean history was Yi Hongjik’s Guksadaesajeon (the Great Encyclopedia of National History: 1962·1963) in two volumes. The several reprinted and revised editions of this encyclopedia were published till JeungboSaeGuksasajeon (the Revised New Encyclopedia of National History: 1999). Several editions of Guksabaekgwasajeon (the Encyclopedia of National Hostory: 1975) supervised by Ryu Hongryeol has been published. Recently, Kyohak Publishing Co. Ltd. compiled and published Hanguksadaesajeon (the Great Encyclopedia of Korean History) in ten volumes. In North Korea, Ryeoksasajeon (the Dictionary of History) was published in 1971, and the revised second edition from 1999 to 2004.
    In the 20th century dictionaries of Korean history have been continually published. Earlier reference works of Korean history began from concise dictionaries and then they have been gradually enlarged to vast encyclopedias. From now on, it is needed to publish specialized encyclopedias within academic circles and for onl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