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전통가정교육과 대순사상 (Education in Korean Treditional Home and Daesoonjinr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00.06
31P 미리보기
한국 전통가정교육과 대순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 / 10권 / 127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순자

    초록

    본 연구는 전통적 가정교육의 특징을 논의하고 대순진리회의 교리는 물론 종도들의 생활에서 발견되는 특징과 문제점 및 대책을 논하였다.
    전통가정교육이란 현재 가정교육에서도 옛날부터 내려오는 가치를 중시여기고 그 가치를 목적으로 하며 그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가정교육을 말한다. 따라서 대순사상 속에 담겨진 한국전통교육의 특성으로 발견된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가정의 화목함을 근본으로 자녀에게 모범이 되도록 하였다.
    둘째, 부모에게 효행을 하도록 하되 강요가 아니라 깨달음을 그 방법으로 택하였다.
    셋째,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도리를 바르게 하도록 하였다. 윗사람은 수하를 사랑으로 지도하고, 손아랫사람은 윗사람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섬기도록 하였다.
    넷째, 타인에 대하여 언행을 바르게 하고 타인이 잘 되게 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게 하여 경쟁심, 시기심을 억제하는 인성교육을 실천하였다.
    다섯째, 가정에서의 기본 생활 습관 및 예의범절을 중시하여 생활화 시켰으며, 협동심, 단결력, 상부상조, 책임감등 민주적 태도를 육성 시켰다.
    이러한 특징은 매우 긍정적으로 간주 할 수 있으나 대순진리회 도인의 가정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교육의 문제점은 유아를 보육전문가도 없는 연락소에 맡겨 놓고 포덕 사업을 하고 있으며, 유아보육 및 교육의 문제를 소홀히 하고 있었다. 우선 각 지역에 있는 회관을 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으로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Daesoonjinri Taoist behavior and educational function in Korean Treditional t home .
    A religious group following Cheungsan's creed, Daesoonjinrihoe emerged as a new folk religion at the turn of the century in Korea. At a time marked by social disorder, and disintegration moral values, Korea was them plunging into a state of chaos as abysmal as it was hopeless. Such ethos could not but worsen the situation of women. The feudal social system of Chosun trampled on women's life more heavily and Confucianism drove them to worsen the situation.
    Maternal relig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boy's and girls' perceptions of parental attitudes.
    The religious of the family, and sex of the child determined variations in Korean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Principles of child education presented in those traditional Korean child education books can be identified as (1) modeling and identification, (2)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behavior, (3) spontaneity of learning, (4) learning by doing, (5) early education with consideration of critical periods, and (6) individualization.
    Unlike other religions, the educational function of Daesoonjinrihoe accords with conflict theory due to the former's acceptance of idea of Ceungsan's Haewon(解怨, working off women's grudge) Sangsaeng(相生, living together). That is, the conflict arising from the unfair distribution of social authority can only be solved by pursin human equality, and women, in order to overcome their marginalized status, must develop their ability to struggle for freedom and emancipation. Daesoonjinri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education, instilled the no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 into people's minds, thereby developing their critical faculty and help them regain individual dignity. This way, Daesoonjinrihe (1) acknowledges equality of women and fosters will power to overcome social barriers, (2) encourages one's potential by reaffirming human independence, (3) succeeds to the tradition of filial devotion through proper worship of ancestors, and (4) helps institutional education by establishing various schools.
    From the standpoint of Daesoonjinrikyo women are the root of all things in universe, and they are appreciated and respected more than men. In other words, it awakens the individuality of mal-treated women, children, and the poor, and helps them to restore human rights and to attain human release. Besides, it corrects the system to work off women's grudge by Haewonsangsaeng, mends women's status to realize their nobility, and enacts the principle of Jungeumjungyang for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so that women may lead a balanced relationship with men, by fulfilling their Dori(道理. what one should do as a human). These principles are reflected in Taoists(道人)’ everyday life flowing to today, but the sexism of Confucianism, which is underlying our history, needs more change.
    Therefore I want to suggest several things to promote the educational function Daesoonjinri First, Early child educational centers are required to be built, and more diverse educat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run.
    Second, teaching methods for individual and group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and various teaching tools should be introduced to heighten the educational effect.
    Third, the access to education should be opened to both sexes.
    Fourth,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limate to raise children with bi- sexuality should be made.
    Fifth, men's positive assistance and their change of thought are needed.
    However, the significance of filial piety denotes love and respect of children for their parents and ancestors in Daesoonjinri taoist. Filial piety is the root of all virt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