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보전』(황병기 소장본) 편찬 연도 재론 (Re-estimated on The Year of Compilation of Geumboj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2.12
27P 미리보기
『금보전』(황병기 소장본) 편찬 연도 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2권 / 169 ~ 195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2020년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이 영인되어 해제와 함께 한국음악학계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 악보의 편찬 연도인 계사년(癸巳年)이 해제에 1713년과 1833년 두 가지로 추정되어 있어서 혼란스럽다. 본고는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고자 『금보전』의 편찬 연도의 근거를 재고하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여 편찬 연도를 1713년으로 해석하였다.
    『금보전』은 양금신보․청송보․신보․시보를 저본으로 한 금론 및 악곡을 수록하고 있다. 이 악보 필사자의 관심은 『양금신보』의 금론과 4가지 조로 된 <중대엽>․<삭대엽>․<북전>에 집중되어 있다. 수록된 금론 및 악곡, 특히 가장 최신의 음악을 싣고 있는 시보의 <평조 북전>이 김성기의 악보를 넘지 않기 때문에 편찬 연대 계사년을 1713년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렇다면 19세기 악보인 『유예지』와 『삼죽금보』(1841)가 구개음화된 거문고 구음 ‘지’, ‘징’ 출현의 출발점이라 판단하여 『금보전』의 편찬 연도 계사년을 1833년으로 추정한 해제는 수정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ㄷ구개음화’는 i, j 모음 앞의 ‘ㄷ, ㅌ’이 ‘ㅈ, ㅊ’으로 교체되는 변화로, 17세기 초부터 등장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금보전』에서 거문고 구음 ‘지’, ‘징’과 함께 사용된 겹술 구음 ‘들스렝’은 『금보신증가령』(1680)과 연세대 소장 『금보』에서 사용되었다가 『한금신보』(1724)에서 ‘딩스렝’으로 교체되었다. 이 점 역시 『금보전』이 18세기 전반기를 넘지 않는다는 증거가 된다.

    영어초록

    In 2020, Geumbojeon (琴譜全) (collected by Hwang Byung-ki) was published and introduced to academia along with bibliographic commentary. It is confusing because the year of writing this score was estimated by dividing it into 1713 and 1833. In order to resolve this confusion, this paper re-estimated the year of compilation as 1713 by reconsidering the basis for estimating the year of compilation of Geumbojeon and supplementing incomplete parts.
    Geumbojeon contains the theory and music of cheun (琴) recorded based on the Yanggeumshinbo (梁琴新譜), Cheongsongbo (聴松譜), Shinbo (新譜), and Sbo (時譜). The author’s interest in this sheet music is concentrated on the cheun theory (琴論) of Yanggeumshinbo and the four keys and modes of <Jeongdayeon>, <Sakdayeop>, and <Bukjeon>.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year of compilation as 1713, since the included cheun theory and music, especially <Pyeongjo bukjeon>, which contains the most recent music, does not exceed the score of Kim Seong-gi. Then, it is wrong to estimate the year of compiling Geumbojeon as 1833 because the 19th century sheet music Yuyeji and Samjukgeumbo (1841) are the starting points of the appearance of the palatalized geomungo gueum (口音) ‘ji’ (지) and ‘jing’ (징). This is because ‘ㄷ palatal consonant’ is a change in which ‘ㄷ, ㅌ’ in front of ‘i’ and ‘j’ vowels are replaced with ‘ㅈ, ㅊ’, and it appears from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Moreover, ‘deulsereng’ (들스렝), which was used together with ‘Ji’ and ‘Jing’ in Geumbojeon, was also used in Geumbosinjeunggyeong (1680), Geumbo in the possession of Yonsei University, and was replaced by ‘dingsreng’ (딩스렝) in Hangeumsinbo (1724). The point also proves that Geumbojeon did not exceed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