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29년 ‘七矣廛文書’를 통해 본 칠의전의 구성과 활동 -조각난 사료의 퍼즐 맞추기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Chiluijoen Examined through the 1829 ‘Chiluijeon Document’ - Piecing Together Fragmented Historical Source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8.09
42P 미리보기
1829년 ‘七矣廛文書’를 통해 본 칠의전의 구성과 활동 -조각난 사료의 퍼즐 맞추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8호 / 177 ~ 218페이지
    · 저자명 : 김동철

    초록

    조선후기 상업은 서울의 시전과 지방의 장시[5일장]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장시는 18세기 후반에는 일상적인 교역기구로 자리잡았다. 서울의 시전은 육의전과 일반시전으로 나뉜다. 육의전은 상위 6개의 시전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다. 시전 수가 7개, 8개로 바뀌면서, 칠의전, 팔의전으로도 불렀다. 육의전은 영업 독점을 침해하는 상행위를 금지하는 금난전권을 가지고 있었다. 금난전권의 적용 범위는 도성에서 10리 범위 이내였다서울의 상업․도시의 발달에 따라 인접한 교통 요지를 중심으로 ‘교환의 場’이 발달하였다. 경기도 양주의 樓院店은 그 대표적인 곳이다. 함경도 지역의 魚物과 布物이 서울로 들어오는 요지에 위치하였다. 누원점은 旅店 기능을 하였지만, 이곳에는 장시가 없었다. 이곳 상인들은 장시를 개설하여 영업의 거점으로 삼으려고 했다. 18세기 후반 이후 여러 차례 장시 개설을 시도하였으나 시전[육의전]상인들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누원점은 鄕商과 시전상인이 충돌하는 공간이었다.
    1994년 국립민속박물관에 있는 칠의전문서[訴狀] 1장이 공개되었다. 1829년 양주 지역민이 누원점에 장시를 개설하려고 하자, 칠의전상인이 양주에 가서 반대하는 청원서를 관에 올린 것이다. 칠의전이 직접 작성한 문서이고, 조직의 상급 직책과 상인 이름이 적혀 있는 일급 사료이다. 이 문서는 40여 글자가 훼손된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필자는 최근 훼손된 글자는 물론이고 내용도 보완해 줄 수 있는 다른 자료를 입수하였다.
    두 자료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없다. 이 논문은 두 자료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인 연구다. 두 자료의 검토를 통해 다른 상업문서 연구도 보완할 수 있다. 조각난 1829년 칠의전 사료의 퍼즐을 맞추기 위한 시도다.

    영어초록

    The commer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volved around shijeon (permanent markets) in Seoul and jangshi (regional market, five-day interval markets) in the provinces. Jangshi established itself as an everyday commercial institu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hijeon in Seoul is classified into Yukuijeon and general shijeon. Yukuijeon is a collective name for the six upper-level shijeon. As the number of shijeon increased to seven or eight, the collective name changed to Chiluijoen or Paluijoen. Yukuijeon possessed Guemnanjeongwon, the right to forbid commercial activities (by unregistered merchants) that violate their business monopoly. The applicable scope of Guemnanjeongwon included the entire area of the capital city and 10ri (equivalent to 4km) from the Hanyang fortress.
    With the development of cities as well as commerce in the capital city, "places of exchange" developed centering around major adjacent points. One of the representative places was the Nuwonjeom in Yangju, Gyeonggido province. These exchange places were located in major points through which fish and fabric-related merchandises from Hamgyeongdo province were brought into the capital city. Nuwonjeom functioned as a tavern, but there was no jangshi in these exchange places. Merchants in these places wanted to establish a jangshi and use it as their base for business. They made several attempts to establish jangshi in the late 18th century but failed because of the opposition by shijeon (Yukuijeon) merchants. Thus, Nuwonjeom was also a place where hyangsang (local merchants or regional merchants) clashed with shijeon merchants.
    In 1994, a piece of Chiluijeon document (i.e. a litigation paper) housed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as disclosed to the public. It was a petition opposing to the opening of a jangshi filed by a doso (a high-ranking merchant) of Chiluijeon to the legal authorities in Yangju when local people in Yangju attempted to open a jangshi in Nuwonjeom in 1829. This is a first-class historical source which was prepared directly by Chiluijeon and indicated the organization's high-ranking position and a merchant's name. This document is problematic in that more than 40 characters have been damaged. Fortunately, another historical material that may complement the content as well as the damaged letters of this document has been recently obtained by the researcher.
    There has never been a full-scale study on these two historical materials. This thesis, therefore, is the first full-fledged study of these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aims to piece together the fragmented Chiluijeon historical source from 1829. Through careful examination of these material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upplement other researches on commercial document and suggest ways to improve problems in conducting related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