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홍길동전 작자 논의의 계보 (The Genealogy of Discussion on the Authorship of Hong Gildong J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2.12
34P 미리보기
홍길동전 작자 논의의 계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36호 / 381 ~ 414페이지
    · 저자명 : 이윤석

    초록

    필자는 <홍길동전>의 작자가 허균이라는 학계의 통설이 잘못이라는 것을 오랫동안 지적해왔다. 그러나 <홍길동전> 작자에 대한 합리적인 논의의 장은 제대로 열리지 못하고 있다. 현재 고소설 연구자들은 <홍길동전>의 내용은 허균이 지은 것과는 거리가 있을 것이라고 여기지만, 허균이 작자가 아니라고 말하기는 어려워한다. 이러한 현상의 근저에는 한국문학사를 위해서는 허균이 <홍길동전>의 작자라고 말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홍길동전> 허균 창작설의 근거는 1674년에 간행된 이식(1584~1647)의 『택당집』에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구절이다. 이식은 뛰어난 문장가로 높은 벼슬을 한 인물이고, 그의 문집 『택당집』은 조선후기에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조선후기에 『택당집』은 쉽게 볼 수 있는 책이었고 허균도 유명한 인물이었으므로,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구절은 『택당집』을 읽은 사람이라면 대체로 알고 있는 내용이라고 보아야 한다.
    김태준은 1930년 동아일보에 연재한 ‘조선소설사’에서 <홍길동전>의 작자 허균에 대해서 언급한 일이 있다. 그동안 국문학계에서는 이 글이 <홍길동전>의 작자를 허균이라고 한 첫 번째 발언이라고 했다. 그러나 경성제국대학 교수 다카하시 토오루는 1927년 『택당집』을 인용하여 <홍길동전>의 작자를 허균이라고 밝혔다. 조선시대 『택당집』을 읽은 많은 사람들 가운데 한글소설 <홍길동전>의 작자를 허균이라고 말한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다카하시 토오루는 『택당집』의 <홍길동전>과 한글소설 <홍길동전>을 연결시켜 <홍길동전>의 작자를 허균이라고 말했다. 다카하시 토오루가 <홍길동전>의 작자를 허균이라고 얘기한 후, 그의 제자들은 ‘허균이 쓴 <홍길동전>’의 연구를 더욱 심화시켜나갔다. 그리고 이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홍길동전>의 작자, 주제, 영향관계 등등의 다양한 연구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홍길동전>은 그 형식과 내용이 19세기에 유행한 전형적인 한글소설이다. 이 한글소설의 작자는 권력이나 양반지식층과는 거리가 먼 무명의 시정인이다. 그리고 이들 무명작가가 쓴 작품을 읽고 즐긴 독자들도 바로 작가와 같은 계층의 사람들이다. <홍길동전>의 의의는, 당대 서민의 꿈과 희망이 작자의 상상력을 통해서 작품에서 드러나고, 독자는 작자의 상상력에 기대서 새로운 세상을 꿈꾸었다는 점에 있다. <홍길동전>을 허균과 연결시켜 영광스러운 문학사를 서술하고 싶어 했던 1930년대 식민지 지식인의 열정은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제 <홍길동전>을 원래 작자와 독자에게 돌려주고, 그들이 얘기하고 싶어 했고 또 얘기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한 때가 온 것 같다.

    영어초록

    It has been many years since I first pointed out that the commonly accepted view which regards Heo Gyun (1569-1618) as the author of Hong Gildong Jeon was a false. Yet reasonable discussions on this topic seem to have not been enough. Nowadays, many scholars of classic prose fiction consider that the story of Hong Gildong Jeon is far different from the original work of Heo Gyun. But it has not yet reached the stage of denying the authorship of Heo Gyun itself. What lies at the root of this theory is the idea that it would be favorable for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o identify Heo Gyun as the author of the first prose fiction.
    The sole basis for regarding Heo Gyun as the author of Hong Gildong Jeon is the following quotation from the Taekdang-jip(Collected Writings of Taekdang) by Yi Sik (1584-1647): “Heo Gyun wrote Hong Gildong Jeon.’’ Yi Sik was a renowned writer and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at the time and his Taekdang-jip had been repeatedly published in lat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the Taekdang-jip, Heo Gyun’s fame played a certain role in spreading the aforesaid quotation.
    Ever since Kim Taejun identified Heo Gyun as the author of Hong Gildong Jeon in his ‘History of Joseon Prose Fiction’ (a serial on Dong-A Ilbo in 1930), scholars have regarded this as the earliest remark of the attribution. However, three years earlier, in 1927, Takahashi Toru, the professor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lready confirmed the attribution by citing the Taekdang-jip. Although the Taekdang-jip was a popularly read book throughout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no explicit indication of the link between Heo Gyun and Hong Gildong Jeon before Takahashi. The significance of his remark lied in this fact. After 1927, more profound analyses were introduced by Takahashi’s pupils and researches on various aspects of Hong Gildong Jeon have continued until the present day.
    Hong Gildong Jeon is a typical popular prose fiction written in Korean script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author was not an intellectual or someone in power but a common man; and most probable that its readers belonged to the same class as the author. Considering these factors, the importance of Hong Gildong Jeon lies in the fact that the story was a reflection of the common people’s hopes and dreams of those days. It could be said that the yearning to create a glorious narrative of Korean literature led colonial scholars in the 1930s to link Hong Gildong Jeon and Heo Gyun. Such yearning carried a positive meaning to a certain extent but it is time for a change. It seems now that subsequent research on this work should give back the story to its original author and readers, i.e. the common people, and shed light on what these people actually desired and talked ab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