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소년 정문기의 교육입지전(敎育立志傳) (Jeong Mungi’s Life under the Japanese Education System: A Success Sto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2.03
27P 미리보기
식민지 소년 정문기의 교육입지전(敎育立志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학림 / 49권 / 307 ~ 333페이지
    · 저자명 : 장신

    초록

    이 글은 식민지 조선에서 성장한 한 소년의 교육 경험을 연대기로 정리하였다. 소년 정문기는 1909년부터 강습소의 근대교육을 시작으로 1929년에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였다. 당시 일본인 소년은 소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와 대학교로 바로 진학하였다. 소수의 관립고등보통학교 학생을 제외하면 대다수의 조선인 소년은 정문기처럼 여러 사립학교를 전전하였다. 졸업과 편입, 중퇴, 졸업이 반복되었다. 1910년대 조선의소년은 네 곳의 사립학교를 거쳐 중등학교를 졸업했지만 고등학교 진학은 불가능했다. 식민지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의 수업 연한이 3년이나 차이났기 때문이었다. 교육 제도의구조적 차별이었다. 그나마 정문기는 운이 좋은 편이었다. 여느 조선인 소년과 마찬가지로 정문기도 일본의 중학교에 다시 편입하여 상급학교 진학 자격을 얻었다.
    이렇게 구조화된 차별 속에서 학교를 다녔지만 정문기는 민족차별을 느끼지 못했다. 조선인 교원과 학생으로 구성된 사립학교만 다녀서 일본인을 접할 기회도 없었던 까닭이었다. 축구와 야구 등 운동에 뛰어난 능력을 보인 개인적 특성도 있지만, 일본 유학중에도 차별을 받지 않았다. 고등학교와 제국대학 재학생이라는 일본인 학생의 엘리트 의식도 한 몫을 했다. 출신 지역보다 출신 학교의 동질감이 큰 이유도 있었다. 구조적차별과 개인의 차별이 분리될 수 없지만 환경에 따라서 의식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a young student, living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chieved success through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The protagonist of our story is Jeong Mungi, who first went through modern education from 1909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Gang Seupso 講學所) and later graduated from the Tōkyō Imperial University in 1929. A typical Japanese student would have moved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middle school-high school-college school system during this period.
    In contrast, except for a very few students registered in the state-sponsored Higher Common School (Godeung Botong Hakgyo, 高等普通學校), most Korean students would have-just like Jeong Mungi-wandered his way through various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going through a rather unorganized process of admission(s), dropout(s), transfer(s) and graduation(s). In the 1910s, a Korean student would have been able to graduate from one of the four private schools and complete a curriculum provided by a “middle-level school (Jungdeung hakgyo 中等學校)” but the official high schools were not accessible to the Koreans. Accordingly, there were systematic discriminations imposed on Koreans compared to their peer Japanese, such as the Koreans being subject to a stricter year limit for graduation. However, Jeong Mungi was relatively fortunate, as he was able to transfer to a Japanese middle school and eventually earn qualifications to advance to a higher school.
    Even though Jeong went through this systematically discriminative system, his memoirs do not indicate any direct experience of ethnic discrimination. Before his college education, he only attended private schools that consisted of Korean instructors and Korean students and thus did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Japanese. Similarly, but for different reasons, Jeong did not experience ethnic discrimination during his study abroad time in Japan. The lack of discriminative experience might have been partially due to his athletic expertise, as he was a talented football and baseball player. But we must also note the elite group mentality prevalent among his Japanese colleagues, those who valued his educational background as a Tōdai graduate more than his regional and ethnic background. Even though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systematic and personal discrimination, Jeong Mungi’s experience shows that one might not constantly be aware of these elements of ethnic discri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