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한글소설 <황부인전>의 재창작 양상 소고 - <삼국연의(三國演義)> 및 중국서사전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wangbuinjeon(황부인전) as a Re-creation novel - in comparison with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三國演義, 삼국연의) and Chinese narrative tradi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5.10
29P 미리보기
조선후기 한글소설 &lt;황부인전&gt;의 재창작 양상 소고 - &lt;삼국연의(三國演義)&gt; 및 중국서사전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67호 / 181 ~ 209페이지
    · 저자명 : 유수민

    초록

    <황부인전>은 작자와 연대 미상의 조선후기 한글소설로, 중국소설 <삼국연의> 속 제갈량의 부인인 ‘황부인’을 주인공으로 삼아 스토리를 새로이 구성한 작품이다. 본고는 <황부인전>이 중국 <삼국연의>의 조선 유입 및 유행 결과 탄생된 작품으로 보고, <삼국연의> 및 중국 민간의 황부인 형상, 그리고 중국의 서사전통을 연계하여 <황부인전>에 나타난 재창작 양상을 비교문학적 관점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황부인은 <삼국연의>에서 매우 단편적으로 언급되어 있을 뿐이지만, <황부인전>에서는 ‘다시쓰기’ 과정을 거쳐 구체적이고 생동감있게 형상화되었다. 본고는 우선 <황부인전>의 형성과정을 <삼국연의>의 조선 유입 및 한글번역본의 탄생과 유행, 그리고 조선후기 대중소설문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한국고전소설 <박씨전>과 연계하여 <황부인전>의 내용적 특성을 중국서사전통과의 비교 하에 고찰했다. 이 두 작품은 ‘우부현녀’ 설화의 수용을 통해 여성지향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을 뿐 아니라 ‘미녀변신’ 화소의 차용을 통해 여성독자들의 현실전복의지를 드러내고 있음을 논의했다. 또한 남편 제갈량을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조선의 무능한 남편들을 풍자하고 있음도 살폈다.
    <황부인전> 속에 새로이 형상화된 황부인은 더 이상 중국서사 속 인물이 아니다. 조선의 독서문화 속에서 자국적 요소를 포함하는 인물로 재탄생된 것이다. <황부인전> 속에서 추녀 황부인은 조선후기 대중독자들의 욕망과 바람이 투사된 미녀영웅으로 거듭났다. 또한 충성의 전범이자 지혜의 화신으로 알려져있는 제갈량은 아내 덕을 톡톡히 보는 무능한 남편으로 그려졌다. 이러한 변이 양상은 조선의 독자들이 중국소설을 있는 그대로 향유하는 것이 아니라 자국문학으로 전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다. 이에 대한 논의가 한중 양국 고전소설 및 서사전통의 이해 제고에 소략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영어초록

    Hwangbuinjeon(황부인전), a Korean classical Hangul novel by an unknown author in late Joseon dynasty, is a story which was newly composed from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三國演義, 삼국연의), Chinese classical novel. Hwangbuin(황부인), Zhuge Liang(諸葛亮, 제갈량)’s wife, was made as the main character in this new text. Hwangbuinjeon was produced on the back of the inflow and spread of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 in Joseon. As focusing on this fact, this study discusses the re-creation aspects of Hwangbuinjeon by pro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original text, Hwangbuin figure handed down among Chinese people and Chinese narrative tradition.
    Hwangbuin figure was only stated fragmentarily in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 but she was embodied concretely and vividly through the ‘rewriting’ process in Hwangbuinje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tion process of Hwangbuinjeon in connection with inflow of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 production and spread of translated version of it, and public novel culture in late Joseon. This study also examined content characteristics of Hwangbuinjeon in relation to Bakssijeon(박씨전), a Korean classical novel which consisted of the similar story composition, and in comparison with Chinese narrative tra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se two Korean classical novels included traditional story about ‘stupid husband and wise wife’ and motif of ‘metamorphosis into a beauty’, which each betrayed female-oriented quality, subversiveness of reality. This study also argued that the author generally satirized incompetent husbands of Joseon society by giving a ridiculous shape to Zhuge Liang in Hwangbuinjeon.
    Hwangbuin character drawn in Hwangbuinjeon is not a figure in Chinese narrative culture any more. She was recreated as a figure who has been naturalized in Joseon's reading culture. Ugly woman Hwangbuin was reborn as a beauty hero onto who Joseon public readers projected their desire. Zhuge Liang originally known as a model of fidelity and an incarnation of wisdom, was described as an incompetent husband character benefited from wife’s talent in Hwangbuinjeon. This change had occurred in the process that Joseon readers had not read Chinese novels just as they were, but had made them changed into domestic literatures appropriately. Alth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roughly, I hope it would help us gain a better mutual understanding of some aspects in Korean-Chinese classical novel and narrative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