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주의 경향의 염상섭 소설과 진화론적 상상력 -『만세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Naturalistic Novels of Yeom Sang-seop and Evolutionary Imagination : Focusing on “Mansejeon(萬歲前)”)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3.09
26P 미리보기
자연주의 경향의 염상섭 소설과 진화론적 상상력 -『만세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54호 / 211 ~ 236페이지
    · 저자명 : 오윤호

    초록

    본고는 한국 근대소설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서구 진화론이 어떠한 양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특히 염상섭의 『만세전』 속에 나타난 진화론적 상상력에 주목하여 염상섭이 갖고 있는 진화론적 시각이 비유적인 언어와 경성에 대한 묘사, 개성에 대한 인식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고찰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한국근대소설 형성과 과학담론의 교섭 양상을 살펴보는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만세전』에 나타난 진화론적 상상력은 세 가지 정도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주인공인 인화는 근대화된 문명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반-사회진화론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가 근대인을 ‘이기적 동물’로 비유하는 내용에서는 인간이 곧 동물이라는 생물학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데, 문화적으로 진화한 근대인이라 하더라도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 되거나, 긍정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반-계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단지 일본인을 대할 때뿐만 아니라, 식민지 조선인을 대할 때에도 반복되어 나타난다. 두 번째로 인화는 식민지 조선을 ‘구더기가 들끓는 무덤’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덤 속에서도 진화론적 조건이 작동하고 있다’라는 인화의 발화를 통해 그의 세계관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진화론적인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 대한 비유적 표현이며, 비참한 현실을 경험하면서도 뜯어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 전근대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조선 민족의 현실을 질타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인화는 ‘자기 스스로 구하라’라고 말하면서, 가족, 경성, 민족, 국가, 제국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낭만주의적 의지’ 혹은 ‘이기적인 욕망’을 드러낸다. 사회진화론을 옹호했던 개화기나 식민지 시기의 지식인들이 보기에는 인화의 ‘자립’적 태도는 반민족적·반국가적 태도와 다름없는 것으로, 이 장면에서 인화가 가지고 있는 제국의 식민지 지배 시스템에 대한 거부 의식을 잘 확인할 수 있다.
    『만세전』은 염상섭의 자연주의 경향의 세계 인식을 가장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소설이다. 『만세전』이 식민지 현실을 생물학적 생태로 파악하며, 진화론적인 인식을 통해 당대를 풍미했던 왜곡된 사회진화론적인 담론을 비판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소설적 의의는 크다. 본고는 인화의 민족주의적 자각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와 함께 내재되어 있는 진화론적인 상상력이 한국 근대 소설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히려고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perspective from Darwinian criticism on the experience of modern colonialism and Naturalistic novels. “Mansejeon(萬歲前),” written by Yeom Sang-seop, represents the ideology and activity of colonists, or individuals who should adapt to a colonial culture by their choice.
    The evolutionary imagination described in “Mansejeon”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aspects. First, In-hwa, a main character, has a perspective against Social Darwinism on people living in a modernized civilization. When he depicts a modern man as a “selfish animal,” his evolutionary recognition can be found, which implies a statement saying a human being is an animal. That is to say, In-hwa shows his position against Social Darwinism in the way that a culturally developed modern man is not an object of admiration or an object with a positive value. Second, In-hwa recognized the colonized Joseon as “a tomb infested with maggots.” From his remark saying “even in the tomb, the condition of evolutionary theory is still activated,” it can be found that his outlook on the world is embedded with the evolutionary perception. His mention is not only a metaphor for the reality of his colonized nation, but also a criticism on the reality of people in Joseon who have a premodern way of thinking and are not willing to overcome the disastrous situation while suffering from it. Finally, while In-hwa says “deliver yourself,” he reveals his romantic willingness or selfish desire to be free from family, Gyeongseong, nationality, nation, and empire. From the view of intellectuals in the enlightenment or colonial era, In-hwa’s independent attitude means anti-national or anarchistic attitude, and it can be clearly identified his repulsion toward the colonial system of Japanese empire. “Mansejeon” is the first novel that shows the author’s realistic perspective on the world. The novel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novel because Yeom writes the story with a critical view on a distorted Social Darwinism which was so popular at that period while he understands the reality of colonized nation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f course, In-hwa’s nationalistic awakening is important, but the evolutionary imagination underneath it has a great impact on modern Korean realistic novels, so I truly believe that this study proposes a new critical point of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