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집현전(集賢殿)의 조직과 운영 체계 (The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Jiphyeonjeon (集賢殿))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1.05
41P 미리보기
집현전(集賢殿)의 조직과 운영 체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8권 / 2호 / 163 ~ 203페이지
    · 저자명 : 구만옥

    초록

    세종대의 당면 과제는 유교적 ‘예악문물’(禮樂文物)의 정비였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학문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수행하고 국책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했다. 이에 세종은 학문 연구의 기반을 조성하고 연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작업에 착수했다. 그와 같은 작업이 이루어졌던 공간이 경연(經筵) 과 집현전(集賢殿)이었다. 양자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세종의재위 기간 동안 유교적 의례(儀禮)와 제도를 연구하는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다.
    세종은 집현전이라는 전문 기관을 통해 인재를 육성하고자 했다.
    이전의 유명무실했던 집현전을 정비하고 학식과 품행이 뛰어난 젊은 문신들을 선발해서 경사(經史)를 강론하게 함으로써 왕에게 자문하는 일을 전담하게 하였던 것이다. 1420년에 집현전에 녹관(祿官) 을 설치하고, 그들에게 경연관(經筵官)을 겸임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했다. 집현전의 정원은 10명에서 32명, 20명으로 때에 따라 변화가있었지만 그들에게 경연과 서연(書筵)을 담당케 하고, 문한(文翰)의일을 전담시키는 관례는 유지되었다.
    집현전 관리의 인사 규정은 ‘장기근속’과 ‘이차천전’(以次遷轉)이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었다. 집현전 관리들은 오랜 기간 동안 같은관서에서 학문 연구에 몰두하였다. 세종은 집현전을 설치한 목적이오로지 문한(文翰)을 다스리기 위함이라고 강조하면서, 집현전 관원들에게 종신토록 학술 활동에 전념하라고 당부했다. 집현전 관리들은 관직에 임명된 차례대로 순서에 따라 상위 관직으로 승진하였다.
    이와 같은 연공서열에 따른 승진은 집현전의 오래된 관례로 간주되었다. 집현전 관리들은 관직 임명과 나이의 순서를 준수함으로써 ‘유림의 선비’[儒林之士]로서 선후의 관계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이고자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집현전과 경연은 세종대 최고의 학문 연구 기관이 되었다. 세종과 신료들은 경연에서 사서오경을 비롯한 유교 경전과 『자치통감』(資治通鑑) 등의 역사서, 『성리대전』(性理大全) 등을독파했다. 본문만 읽는 단순한 강독이 아니라 주석까지 치밀하게 검토하는 명실상부한 학문 연구였다. 경연에서 쌓은 학문적 성과는 세종대 예악(禮樂)을 제정하고 각종 제도를 정비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요컨대 집현전은 문과(文科)에 합격한 문반 관료 가운데 연소(年 少)하고 재행(才行)이 있는 인물들을 선발하여, 다년간의 재직 기간을 통해 경사(經史)를 비롯한 각종 문헌을 강론하게 함으로써 여러학술 방면에 전문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기관이자, 국왕과조정의 필요에 따라 국정 운영 전반에 걸친 중요한 사안에 대해 정책적 자문을 하는 기관이었다.

    영어초록

    King Sejong regarded the reorganization of Confucian rites, music, and the managerial system as a task of upmost importance. To achieve this, experts who studi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lated fields and acquired practical abilities to carry out governmental projects were required. To nurture the foundation of academic research and educate intellectuals, King Sejong utilized two institutions: Gyeongyeon (royal lecture) and Jiphyeonjeon (Hall of Worthies). These two,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one another,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study of Confucian rituals and systems during the Sejong era. Sejong added a new function to Jiphyeonjeon, which was the upbringing of pupils. Jiphyeonjeon selected young and capable civil officials and had them advise the King by discussing classics and histories. The King founded salary posts in Jiphyeonjeon in 1420 and had those in the posts hold the positions of Gyeongyeongwan (royal lecturer) as well. The total number of Jiphyeonjeon officials differed, from 10, 32, or 20 at times, but the responsibility of being responsible for Gyeongyeon and Seoyeon (lecture for the Crown Prince) and for authoring major state documents were maintained as their own by tradition.
    Personnel management in Jiphyeonjeon was characterized by the systems of long-term service and promotion by seniority. The officials of Jiphyeonjeon kept the same position for many years to focus on studying their specialties. Sejong stressed that the sole purpose of Jiphyeonjeon was to author major state documents. and therefore required the scholars to concentrate on life-long study. The officials were promo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hire, and this system was considered to be the custom of Jiphyeonjeon. They followed the rule of seniority of official employment and age, so they could respect superior Confucian scholars. Through these processes, Jiphyeonjeon and Gyeongyeon became the preeminent scholarly research institutions. In Gyeongyeon, Sejong and the officials recited Confucius texts of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as well as history books such as Zizhitongjian and Xinglidaquan. They did not stop at mere reading, but reached a level of scholarly studying by adding annotations.
    Intellectual achievements in Gyeongyeon served as the foundations for the rearrangement of rituals and music, and the reorganization of various institutions. Conclusively, Jiphyeonjeon can be understood as the royal institution where selected officials from the highest civil service examination, nurtured by long-term engagements in Gyeongyeon, were raised as competent intellectuals, and provided administrative counsel for state management upon the requests of the royal cou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