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고학년 대상 이성교제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연구 (The program development and action research for heterosexual relationship of upp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2.10
22P 미리보기
초등 고학년 대상 이성교제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20호 / 535 ~ 556페이지
    · 저자명 : 이은하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이성교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면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구하는 과정에 대해서 관찰하고 성찰한 내용을 기술하기 위하여 실행연구를 선택하여 진행하였다.
    방법 충남 Y군에 소재 초등 6학년 중 한 반에 16명씩 두 반을 모집하여 총 32명을 선정, 1차 16명을 대상으로 3월부터 4월까지주 1회 40분씩 총 5회기 실시 후 결과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2차 16명을 대상으로 5월부터 6월까지 주 1회 40분씩 총5회기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회기별 특징적인 행동과 인상적인 말들을 기록했고 그 외 경험했던 일들을 빠짐없이 자세하게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 자신을 도구로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각 회기마다 프로그램 실행 후 연구자의 성찰 일지를 작성하였다. 모든 자료들은 회기별 반성자료로써 다음 회기 프로그램 실행연구에 반영하였다.
    결과 본 프로그램의 효과는 참여자들의 반응, 프로그램 실시 전중후의 변화, 연구관찰자의 관찰 등의 방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성교제의 여러 가지 상황 중 이성을 좋아하는 마음을 알 수 있는 방법, 좋아하는 이성에게 고백하는 방법, 사귀는 사이에서 가능한 신체접촉에 대한 반응, 사귀는 사이에서 가능하지 않은 신체접촉에 대한 반응, 사귀는 친구가 사랑한다며 입술에 뽀뽀하려고 하는데 나는하고 싶지 않을 때 반응에 대한 참여자의 사전, 중, 사후 변화가 있었다.
    결론 연구자는 이성교제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 고학년의 이성교제에 대해 배울 수 있었고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건강한 이성교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성교제 프로그램은 초등 고학년의 이성교제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참여자들이 서로 나눔으로써 배울 수 있으므로 초등 고학년의 건강한 이성교제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시 활용할 수 있을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n implementation study to describe the observations and reflections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heterosexual intercourse programs for primary and senior grades while exploring what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experience and how they change.
    Methods A total of 32 students were selected by recruiting 16 students from one class of the primary 6th grade in Y County, Chungnam, and a total of 5 sessions were conducted for 16 primary students from March to April for a total of 5 sessions of 40 minutes per week, and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revised and the program was revised, and the 2nd 16 students were conducted a total of 5 sessions of 40 minutes once a week from May to June. Over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students' characteristic actions and impressive words were recorded and analyzed in full detail. The researchers themselves used the program as a tool to keep a reflective journal of the researcher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t each session. All the materials were reflected in the next session program action research as a reflection on a per-session basis.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the response of the participants,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the observation of the study observers. Among the various situations of heterosexual relationship, there was a pre-, middle, and post-mortem change in the participant's response to how to know the heart likes the opposite sex, how to confess to the opposite sex that is liked, how to respond to possible physical contact between a relationship, a reaction to an unforeseen physical contact between a relationship, and a reaction when a friend in a relationship is trying to kiss me on the lips saying that I love and I don't want to.
    Conclusions Through the heterosexual relationship program, the researchers were able to learn about heterosexual relationship in the upper elementary grades and found that the program could help in the healthy heterosexual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eterosexual relationship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for healthy heterosexual relationship in the upper elementary grades as participants can learn from sharing with each other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heterosexual relationship in the upper elementary grad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