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괴물>의 통과제의 구조와 그 의미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Rite of Passage in the film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6.05
34P 미리보기
영화 &lt;괴물&gt;의 통과제의 구조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2권 / 2호 / 233 ~ 266페이지
    · 저자명 : 임정식

    초록

    통과제의의 기본 구조는 ‘분리-전이-통합’ 혹은 ‘준비-통과제의적 죽음(시련과 죽음)-재탄생’이다. 이러한 통과제의 구조는 시공간을 초월해 보편적인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인물의 존재론적인 변화와 재탄생의 기반이 된다. 이 글에서는 봉준호의 영화 <괴물>에 고대부터 널리 행해진 통과제의 구조가 내재돼 있다는 점을 밝히고, 또한 인물의 행적이 지닌 제의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괴물>의 주인공인 강두와 현서의 행적은 통과제의 구조와 일치한다. 즉, 두 사람의 정신적‧사회적 변화 과정 및 그 의미는 일반적인 통과제의 신참자에게 나타난 것과 동일하다. 강두와 현서는 신참자로서 통과제의의 각 단계를 모두 경험한다. 이때 분리는 납치와 감금, 전이는 혼절-굶주림(단식)-고문-삼켜짐-모태회귀, 통합과 재탄생은 탈출 및 재생으로 구체화된다. 강두는 이 과정을 통과해 ‘새로운 인물’로 재탄생한다. 강두의 존재론적인 변화는 ‘아버지 되기’와 사회의식까지 갖춘 어른으로 거듭나는 것으로 나타난다. 현서는 자기희생을 통해 세주로 재탄생한다. 강두와 현서가 경험한 죽음과 재생의 과정은 나선형 순환구조를 이룬다.
    <괴물>에 나타난 괴물의 역할과 성격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괴물은 이방인, 적대자, 죽음의 신의 성격을 지닌다. 둘째, 괴물은 결과적으로 강두와 현서의 존재론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셋째, ‘괴물의 세계’는 통과제의 구조가 형상화된 존재이다. 한편 돌연변이 괴물은 괴상한 생명체인 동시에 정부, 언론, 경찰, 병원 등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사회 시스템을 상징한다. 그래서 강두는 실재하는 괴물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의 괴물 같은 사회 시스템과도 싸운다.
    <괴물>은 바빌로니아의 신년제이자 집단 통과제의인 아키투 축제와 비교할 수 있다. 강두와 현서는 괴물 티아마트를 물리친 영웅 마르두크이자 축제에서 마르두크의 역할을 담당한 바빌로니아 인들과 같은 존재이다. 통과제의를 거치며 시간의 폐기와 갱신, 재창조를 이뤄냈기 때문이다. 이는 <괴물>에 내재돼 있는 통과제의 구조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다. 이처럼 <괴물>은 통과제의 구조와 한국의 사회현실을 성공적으로 접목함으로써 보편성과 시대성을 동시에 확보한 영화가 됐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film <The Host> directed by Junho Bong features the structure of 'Rite of Passage' which follows the process of 'Separation-Transition-Incorporation.' The film shows the process of 'Rite of Passage' experienced by the two naive characters, Kangdoo and Hyunseo. In the beginning, Kangdoo and Hyunseo are separated, transit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orld in the midst of the film, and finally reunited to be reborn. The separation is represented in the scenes of abduction, confinement; transition in the scenes of swoon, hunger, torture, falling prey to the monster, and return to the womb; incorporation in the scenes of escape and revival. Kangdoo is reborn as a new character through 'Rite of Passage.' Hyunseo as a new character of Sejoo in another type of family through her sacrifice. The adventure of the two main characters signifies the destruction of time, renewal and recreation.
    The monster in the film <The Host> represents the god of stranger, enemy and death and works as mediator to draw the existential transformation of the characters. The monster symbolizes the unjust and corrupted social system of government, mass media and police as well as a grotesque creature. The enemies Kangdoo is faced with are not only the monster but also monstrous social system.
    The general idea of 'Rite of Passage' in <The Host> can be traced back to that of Babylonian annual rituals and Akitoo festival. Kangdoo and Hyunseo can be compared to the hero Marduk or the babylonians who took the role of Marduk in the festival. The concept of 'Rite of Passage' is a universal the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